겨울철 타이어 "적정 공기압" (내 차는?)
오늘은 자칫 넘어가기 쉬운, 타이어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타이어는 고무여서, 수축과 팽창을 합니다 겨울철은 온도가 낮기 때문에 팽창보다는 수축이 심합니다 그래서 무심코 타이어를 확인하면 내가 기존에 넣었던 공기압보다 심하면 5 psi 이상 빠져있습니다 그래서 이 현상을 잘 모르면 타이어가 펑크가 났나? 생각할 수 있지만 4바퀴가 서로 비슷하게 빠져있다면 수축으로 인한 공기압 빠짐 입니다 기본적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은 너무 없어도, 너무 많아도 안 됩니다 그래서 일정하게 맞춰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한 실험에서도, 타이어 공기압이 낮은 상태의 브레이킹과 높은 상태의 브레이킹의 제동거리가 비슷하게 늘어났고 적정 공기압의 경우는 제동거리가 짧았습니다 보통 내 자동차의 표준 공기압은 운전석쪽이나 조수석쪽 문을 열면 그 기둥에 적혀있고, 영상에서도 보다시피 안 적혀있는 차량도 다수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내 자동차가 특수한 자동차가 아니라면 (슈퍼카,튜닝카,덤프트럭,버스,레미콘,)등등 평균적으로 34~38 사이 입니다 겨울철이니 38에 가깝게 맞춰주시면 되겠습니다 여러분! 타이어는 브레이킹도 브레이킹 이지만 승차감에도 엄청난 영향을 줍니다 적당한 공기압은 운전이 편해지고 승차감이 좋아집니다! 귀찮겠지만 겨울철에는 공기압 빠짐이 심하기 때문에 12월에 한번 체크하고 2월 정도에 한번 체크하면 더욱 더 안전한 운전이 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