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2. 춘천여고와 평화로🍃✨ [ 24-25 춘여 학생회 소녀상 나눔 ]](https://krtube.net/image/GptFATnkWkE.webp)
EP2. 춘천여고와 평화로🍃✨ [ 24-25 춘여 학생회 소녀상 나눔 ]
🌱창공을 향한 또 다른 비상, 2024-25 학생자치회입니다.🌱 1991년 김학순 할머님께서 우리나라에 일본군 '위안부'가 있었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언하신 날을 기억하고 기리기 위해 2017년에 매년 8월 14일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하였습니다. 우리 학교의 소녀상 앞에서 매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행사를 진행하였는데요. 이번 기림의 날에는 더 많은 사람들과 기림의 의미를 공유하고자 타 여고에 미니 소녀상을 나눔 하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춘천여고와 평화로 신청 방법 ] 1. 춘천여고와 평화로 오픈채팅방에 학교 이름으로 입장 https://open.kakao.com/o/s5krEAHh 참여코드 : 0814 2. ‘소녀상 신청하고 싶습니다’라고 카톡 보내기 3. 보내드린 신청서 양식에 맞추어 작성하기 학생회 업무에 소녀상 관리 업무 추가하기, 기림의 날 행사 진행하기(필수) 소녀상을 잘 보이는 곳에 비치하고 관리하기(필수) 교내 소녀상 건립을 위한 노력하기(우선 선발) 4. 오픈채팅방에 작성한 신청서 보내기 춘천여고에 건립되어 있는 평화의 소녀상, 그리고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Q&A 형식으로 알아봅시다! Q. 평화의 소녀상은 우리 학교에 언제 건립되었나요? A. 춘천여고 평화의 소녀상은 2019년 2월, 학생들과 교직원, 학부모회, 총동창회의 모금을 통해 건립되었습니다. Q. 평화의 소녀상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나요? A. 평화의 소녀상은 정말 많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소녀 제2차 세계대전 중 경제적이고 조작적으로 일본군에 의해 성폭력 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을 의미함. 2. 발꿈치가 들린 맨발 도망가지 못하도록 신발을 빼앗기고, 고향에 돌아와서도 편히 정착하지 못한 할머님들의 설움을 의미함. 3. 거칠게 잘린 머리카락 부모와 고향으로부터 강제로 단절된 것을 상징함. 4. 얼굴 일본군의 범죄에 대한 분노를 담고 있지만 두려움 없이 해결하겠다는 강인한 의지를 보여줌. 5. 어깨 위의 작은 새 자유와 평화의 상징이자 세상을 떠난 할머님들과 현재의 우리를 이어주는 연결고리를 상징함. 6. 꽉 쥔 주먹 일본 정부의 진심 어린 사과를 받아 내겠다는 의지의 표현임. 7. 할머니 형상의 그림자 오랜 시간 풀리지 않는 한과 가슴앓이를 의미함. 8. 할머니의 그림자 속 하얀 나비 부디 나비로 환생하셔서 한을 풀길 바라는 염원을 상징함. 9. 빈 의자 세상을 떠난 할머님들의 빈자리이자, 지금 우리가 소녀와 함께 앉아 공감할 수 있는 공간임. Q. 우리는 왜 이 사실들을 기억해야 하나요? A.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인권 회복을 위해서,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전시 성폭력을 멈추기 위해서, 앞으로의 평화를 위해서 우리가 기억해야 합니다. 올해 2월 16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 할머니가 별세하시면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7분밖에 남지 않은 상태입니다. 피해자가 직접 진정한 사과를 받을 수 있도록 우리가 함께해야 합니다. Q. 우리가 직접 연대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요? A. 직접 참여하는 방법으로는 매주 수요일 낮 12시에 주한일본대사관 인근에서 열리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여하는 것과 8월 14일 기림의 날 무렵, 관련 추모행사에 참여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주변에 알리는 것 역시 연대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Q. 기림의 날이 무엇인가요? A.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기 위하여 제정된 국가 기념일입니다. 1991년 8월 14일, 김학순 할머님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증언하셨고, 그 증언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인권 문제로서 국제 사회에 알려지는 것에 크게 기여하였기에 2017년에 매년 8월 14일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하였습니다. Q.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요! A. 일본군 '위안부' 및 전시 성폭력과 관련한 박물관으로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일제강점기와 관련된 박물관으로 '식민지 역사박물관'을 추천합니다! 관련 영화로는 '허스토리', '귀향', '귀향: 끝나지 않은 이야기', '아이캔스피크' 등이 있습니다. 이외의 추가 자료들은 '아카이브 814' 혹은 '정의기억연대'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 자료 전쟁과 여성 인권 박물관 https://womenandwarmuseum.net/ 식민지 역사박물관 http://historymuseum.or.kr/ 아카이브 814 https://www.archive814.or.kr/main.do 정의기억연대 https://womenandwar.net/thekoreancoun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