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 25만원 그래서 넣어야 해?
▶️ 주택청약 25만원 나도 넣어야할까? 기준 딱 정해드림 #shorts 11월부터 시행된 주택청약 월 납입한도 상향! 기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올랐죠? 근데, 10만원 유지할지, 25만원씩 내야할지 고민되셨다면 해피씨쀼가 기준 정해줄게요 🏷️ 주택청약 25만원 기준 구독하고 알아가기! 🏷️ 주택청약 해지 고민중이라면 저장하고 다시보기! 1️⃣ 공공분양 vs 민간분양 두 분양의 차이는 사업주체, 무주택자 여부, 85㎡ 이상 면적 제공 여부, 자산 보유기준 여부 이렇게 4가지에요 🌹 공공분양 🏠 국민주택 ( 85㎡ 이하 주택, LH/SH) 공급하는 분양 🪙 신청자격: 무주택 세대원 👌 청약통장 납입금액 많은 순으로 선정 🍯 정부에서 주거 안정이 필요한 특정 계층을 위해 만든 제도 🙅♂️ 1주택자는 무조건 불가능(매도시 가능) 🖐60㎡ 이하의 주택은 고소득자 맞벌이부부 불가(그 이상은 소득조건 없음) 🌹 민간분양 🏠 공공주택 외 민간건설사(푸르지오, GS, 래미안 등) 가 공급하는 주택 🪙 신청자격: 전용면적 85㎡이하는 무주택자, 초과는 1주택자도 가능(가점제,추첨제) 👌 가점제는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가입기간을 점수로 해서 높은 점수가 선정 🍯 청약 예치금은 공고일 전까지만 모두 넣으면 됨 💸 민간분양 청약 예치금 기준(모든면적기준): 서울,부산 1,500 / 기타광역시 1,000 / 기타 시,군 500 🙆♂️기간, 횟수는 2년 이상, 24회 이상, 600만원 이상 납입했다면 서울, 부산기준 102㎡ 이하 청약 1순위 2️⃣ 25만원 내야해? [Case1] 2년 이상, 24회 이상, 600만원 이상 납입한 상태 (공공분양X, 민간분양만 노리는 경우) 🙆♂️ 무주택세대주, 연소득7천이하라면 소득공제를 위해 부담없다면 월 25만원씩 내도 상관은 없음 (300만원의 40%까지 소득공제) 🙅♂️ 유주택자, 연소득7천 이상이라 소득공제도 못받는다면, 납입은 중단하되, 해지는 하지 말기! [Case2] 공공청약을 노리는 분들 🙆♂️ 공공청약 당첨선이 1500만원정도라서 1500까지는 25만원 납입 [Case3] 공공청약은 포기했지만, 2년 이상, 24회 이상, 600만원 이상 납입 조건이 안되는 경우 🙅♂️ 굳이 25만원까지는 필요 없고, 10만원씩만 넣으세요! 3️⃣주택청약 세액공제 혜택 🪙연간 청약저축 300만 원의 40%까지 (25년부터) 🏠 무주택 세대주 &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일 경우만 해당 #신혼부부재테크 #해피씨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