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석의 '교방가요': 학무의 변화: 한국 전통춤 학무(학춤) 역사이야기 64화
#shorts @koreantraditionaldance 800여년의 풍부한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의 소중한 춤 학무(학춤)는 고려시대 시중 잡무에서 시작하여 궁중정재, 한성준 학무, 한영숙학무를 이어져 내려온 전통 춤입니다 한국무용 학무(학춤)의 역사 이야기 목록 01 학무의 뜻매김 02 학무와 학춤의 구분 03 한영숙류 학무 탄생 04 학의 형상 05 삼국사기에 전해지는 학의 설화 06 삼국유사에 전해지는 학의 설화 07 불교에서의 학의 의미 08 유교에서의 학의 의미 09 도교에서의 학의 의미 10 학무의 유래 11 고려시대 연화대무 12 연화대무의 유래 13 연화대무의 원형 14 고려시대 연화대무와 학무 15 ‘고려도경’에 보이는 고려시대 춤 16 학무의 발생 시기 17 학춤의 나례 발생설 18 고려시대 나례경연 행사 19 고려사 나례경연 기록 20 고려의 나례경연과 ‘고려도경’의 분석 21 고려시대 학무에 대한 기록 22 고려시대 학춤과 관련된 시 ‘복차운’의 내용 23 고려시대 학춤이 언급된 ‘복차운’ 시 분석 24 고려시대 연화대 치어 비교 25 고려시대 학춤이 정재로 편입된 시기 26 고려시대 학에 대한 대표적인 시, 이색의 ‘영학’ 27 학에 대한 고려 사람들의 인식 28 고려시대 학춤의 궁중정재 편입 배경 29 고려 말 조준의 악무 개혁 30 조준의 악무 개혁 상소 내용 31 조선초기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교방가요 32 조선초기 교방가요에 관련된 조선왕조실록 내용 33 조선초기 연화대와 관련된 기록 34 조선초기 연화대의 조선왕조실록의 내용 35 조선시대 나희에 대한 기록 36 '용재총화'의 나희: 오처용과 학무 내용 37 '용재총화'의 나희: 연화대 놀이 동동 38 '용재총화'에 보이는 연희 종목 분석 39 조선시대 악서 ‘악학궤범’ 40 '악학궤범'에 보이는 학무의 위치 41 '악학궤범'의 학무 무보 1편: 부리 마주치는 동작, 안쪽과 바깥쪽 보는 동작 42 '악학궤범'의 학무 무보 2편: 부리마주치는 동작, 안쪽과 바깥쪽 보는 동작 43 '악학궤범'의 학무 무보 3편: 연통 내면과 외면보는 동작, 안쪽과 바깥쪽 보는 동작, 연통을 쪼는 동작 44 '악학궤범': 학연화대처용무합설무 무보 45 '악학궤범' 교방가요 무보 1편: 침향산과 지당판 설치, 가요 46 '악학궤범' 교방가요 무보 2편 47 '악학궤범' 학무 무구: 학탈 48 '악학궤범' 학무 무구: 침향산, 지당판 49 궁중정재 학무의 최초 공연 기록 50 정재무도 홀기 51 정재무도홀기의 가치 52 정재무도홀기의 학무의 무보 53 홀기에만 전해지고있는 정재 54 정재무도홀기: 학무의 무보 1편 55 정재무도홀기: 학무의 무보 2편 56 정재무도홀기: 학무의 무보 3편 57 조선시대 의궤 58 '의궤'속 궁중 잔치 59 '의궤'의 주요 목적 60 '고종진연의궤': 학무 공연 연행 과정 61 '의궤': 학무 정재악장 62 조선후기 정현석의 '교방가요' 63 정현석의 '교방가요': 학무 내용 64 정현석의 '교방가요': 학무의 변화 65 조선시대 선상제도 66 조선시대 학무 기록: '성소부부고' 67 조선시대 학무 기록: '심전고', '청장관전서' 68 20세기 초 궁중정재 학무 기록 69 근대 한국무용의 선구자 한성준과 학무 70 전통춤 한영숙류 학무의 탄생 71 한영숙 학무에 대한 무형문화재 조사 보고서 제64호 72 한영숙 학무 학연화대무로의 종속 73 학연화대합설무에 대한 무형문화재 조사 보고서 74 한영숙류 학무에 대한 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