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금산조 중 자진모리
가야금산조 5∼6개의 장단구성에 의한 악장으로 구분되며, 다른 악기로 연주하는 산조보다 먼저 발생하였고, 또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다 19세기 말 고종 때 김창조(金昌祖)에 의하여 틀[型]이 짜여졌다고 하나 몇 가지 이설(異說)이 있다 즉 김창조와 동년배인 한숙구(韓淑求)·심창래(沈昌來)·박팔괘(朴八卦) 등도 산조를 연주한 점으로 미루어 김창조산조를 효시로 볼 수 없다는 설이다 자진모리 ‘잦게 몰아 간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빠른 장단에 해당하며, 한 장단은 3소박4박자이다 이 장단은 빠르기에 따라서 ‘느린 자진모리’와 ‘자진 자진모리’로 구분할 수 있다 자진모리의 북장단은 사설과 소리에 따라 기본적인 북장단에서 벗어나서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 판소리에서 다른 장단의 경우도 기본적인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자진모리장단은 빠르기 때문에 예외가 많으며 자유로운 연주기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리가 계속해서 달고 나가기만 하다가 맺어주기도 하며, 또 끝에 가서 풀어주어야 될 곳에서 풀어주지 않고, 맺어서 졸라 떼고 다시 장단을 시작하는 등, 사설 구성상 소리 자체가 기본적인 틀을 벗어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대목으로는 〈춘향가〉 중 ‘방자가 춘향을 얼러대는 대목’ · ‘신연맞이’ · ‘어사출도’, 〈심청가〉 중 ‘임당수 바람부는데’, 〈적벽가〉 중 ‘자룡이 활 쏘는데’ · ‘적벽대전’,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