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중국·EU 그들은 왜 디지털화폐를 발행할까? | 블록체인 | 스테이블 코인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이 내년 상반기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CBDC란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화폐입니다. 중국은 원래 2015년부터 CBDC 개발을 진행해 왔는데요. 중국의 CBDC 개발이 탄력을 받기 시작한 것은 페이스북의 디지털화폐 ‘리브라’의 등장 때문입니다. 유럽연합(EU) 역시 페이스북의 리브라를 견제하며 EU 차원에서 디지털화폐 발행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과 유럽 두 거대 주체가 리브라를 견제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이를 알기 위해서는 20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당시 테더(Tether)라는 회사는 사람들에게 1달러를 받고 1테더를 발행해줬습니다. 테더는 디지털화폐(암호화폐) 이렇게 특정 자산이나 통화와 가치가 1:1로 고정돼 있는 것을 스테이블 코인이라고 합니다. 자국 법정화폐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살 수 없었던 투자자들은 테더를 대체제로 삼은 것입니다. 암호화폐 특성상 외환거래법에 저촉되지 않고 국경없는 송금이 가능한 까닭에 테더의 수요는 나날이 확대됐습니다. 현재 테더 발행량은 41억 달러에 달합니다. 테더의 눈부신 성장을 목격한 페이스북 역시 스테이블 코인 리브라를 발행하겠다고 나섭니다. 과연 리브라를 발행하는 페이스북의 야망은 무엇일까요? 또한 중국과 EU가 페이스북을 견제하며 디지털화폐 발행을 검토한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달란트투자의 '실습을 통해 배우는 주식투자종합반' 온라인 클래스: https://www.cidermics.com/course/deta... ▶ 달란트투자의 『전자공시 100% 활용법』 서적: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 Kevin MacLeod의 Hep Cats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http://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http://incompete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