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 10년…생태 복원은 아직 / YTN 사이언스

청계천 복원 10년…생태 복원은 아직 / YTN 사이언스

[앵커] 오늘로 서울 청계천이 복원된 지 꼭 10년이 됩니다. 그동안 2억 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찾을 정도로 시민들의 휴식공간이자 명소가 됐지만 '콘크리트 어항'이란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역사·문화가 담긴 생태하천으로 청계천을 개선·보완한다는 방침입니다. 김선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2005년 10월,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의 공약으로 도심의 흉물이었던 서울 청계천 고가도로가 철거되고 콘크리트로 덮여있던 청계천에 다시 물길이 흐르기 시작합니다. 이후 10년간 1억9천만 명의 내외국인이 찾는 도심의 명소가 됐고 빛초롱축제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열리는 서울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김승은, 서울 합정동] "애들이랑 가끔 나오면 물고기도 있고 물장구도 치고…. 도시에 이곳만 한 곳이 없는 같아요. (그래서) 아이들이랑 가끔씩 오게 되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한강 물을 인위적으로 끌어쓰다 보니 관리비만 1년에 75억 원이 들어 '콘크리트 어항'이란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또 기습 폭우라도 내리면 수위 조절이 잘되지 않아 사람이 갇히거나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는 등 부작용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서울시는 전문가와 시민이 함께하는 시민위원회를 만들어 청계천을 '역사와 문화가 담긴 생태하천'으로 개선· 보완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진용, 서울시 하천관리과장] "수질정화에 대한 부분, 어류 피난처 등 서식지 제공에 대한 부분, 또 생태적으로 안정성 확보에 대한 부분들이 있는데요. 이것을 중장기적으로 단계별로 시행해 나갈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10년 전 도심 생태하천을 표방하며 복원됐던 청계천! 역사성과 자연생태성 보완에 들어간 청계천이 언제쯤 스스로 숨 쉬는 공간으로 거듭날지 주목됩니다. YTN 김선희[[email protected]]입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