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이장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안양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Shorts

산소 이장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 안양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Shorts

#산소_이장이 #자녀에게_미치는_영향 #점집추천 #점집후기 #안양점집 #안양점집추천 #안양시점집 #안양시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살풀이굿 #재수굿 #진오귀굿 #연이궁 #꽃대신 #Shorts 연이궁 꽃대신 상담문의 : 010-6625-2677 상담위치 : 안양시 이재명 대통령 될 수 있나 - 연이궁 꽃대신의 확실한 예언 대운이 들어올때 징조 - 운이 바뀔때 - 대운이란 상문 부정풀이 상문살 직접 푸는 초강력 셀프 비방법 앞날이 창창한 자녀를 위하여 명다리 올리는 특별한 이유 안 좋은 터만 볼 줄 알아도 새는 금전 재물을 막을 수 있다 평생의 연인을 알아보는법 - 혼인 여탐굿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이장(移葬):묘를 쓴 후 다시 어떠한 목적에 의하여 새로이 묘지를 택하여 시신을 옮겨 매장하는 상례의식 개장(改葬)·면례(緬禮)·면봉(緬奉)·천장(遷葬)이라고도 한다 중국문헌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문왕(文王)이 왕계(王季)를 과산(過山)의 기슭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적어도 주나라 때 이미 이장풍속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는 『태종실록』 태종 10년(1410) 8월조에 “개장복(改葬服)을 예조에서 시마(緦麻)로 행하지 않을 수 없다 ”는 기록이 보이고, 『가례증해(家禮增解)』·『상례비요(喪禮備要)』·『사례편람(四禮便覽)』 등에도 그 절차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어서 일찍부터 행해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관혼상제의 규범으로 여겼던 주자의 『가례』에는 이에 관한 절차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일반적으로는 상변례(喪變禮)로 취급되고 있다 이의조(李宜朝)의 『가례증해』에 의하면, 이에 관한 절차는 명나라의 구준(邱濬)이 『개원례(開元禮)』를 근거로 하여 『가례의절(家禮儀節)』에 수록하였으며, 이것을 토대로 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신의경(申義慶)이 그의 『상례비요』에 수록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후에 나온 예서들은 모두 이 『상례비요』의 개장절차를 인용하여 수록하고 있다고 하였다 신의경은 개장을 논의하면서 “옛날의 개장은 분묘가 어떤 이유에서 붕괴되어 시신이나 관이 없어질 우려가 있을 때 하는 것이었으나, 요즈음에는 풍수설에 현혹되어 아무 이유가 없이도 천장(천묘)을 하는데, 이것은 심히 잘못된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개장에는 개장할 날을 받는 일부터 옛 묘지를 파헤치는 일과 새 묘지를 만들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일을 마치는 절차가 포함된다 신의경의 『상례비요』에 기록된 절차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개장의 절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개장을 하려면 먼저 묘지를 고르고 모든 절차를 초상 때와 같이 준비한 다음 날짜를 택하여 무덤자리를 만든다 개장하기 하루 전에 사당에 “체백(體魄)을 모실 땅이 아니기 때문에 뜻밖의 환란이 생겨 선령(先靈)을 놀라게 할 것 같아 걱정스러워 개장한다 ”는 내용으로 고사한다 이튿날 내외친 모두 상복으로 갈아입고 옛 묘에서 토지신제와 계묘고사(啓墓告辭)를 올린다 계묘고사는 주과포혜(酒果脯醯)를 묘 앞에 진설한 뒤 곡과 재배·분향·단헌·곡의 순으로 진행된다 그 다음에 개분(開墳)을 하는데 자손들이 모두 나아가 곡을 한다 이때의 상복은 직계자손일 때에는 모두 3개월 동안 시마복(緦麻服)을 입으며, 그 밖에는 소복을 한다 관을 들어내면 명정을 동쪽에 세우고 공포(功布)로써 관을 닦아내고 이불로 덮은 다음 관 앞에 전상(奠床)을 차리고 때가 되면 상식을 올린다 모든 절차는 초종 때와 같으나 단지 혼백상(魂魄床)이 없을 뿐이다 관을 열어 시신을 내모시고 새로이 대렴(大斂)을 하여 상여에 싣는다 이어서 초상례와 마찬가지로 발인을 한다 새 묘에 내려 묻고는 그 왼쪽에서 토지신제를 지낸다 그 다음의 절차에 대해서는 『상례비요』와 『사례편람』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상례비요』에 의하면 묘 앞에 영좌(靈座)를 차리고 우제를 지낸 다음에 영좌를 철거하고 돌아온다 우제의 절차는 상례의 초우와 같다 집에 와서는 사당에 고한다 이로써 개장의 절차는 끝나며, 그 뒤 3개월간 상복을 입는다 개장한 지 넉달째 되는 초하룻날에 허위(虛位)를 만들고 곡을 하고서 옷을 벗는다 그러나 『사례편람』에서는 우제라는 말이 없이 묘 앞에서 간단히 전고(奠告)를 올린 다음 돌아온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정침에 영좌를 차리고 사당에 고한 다음 신주를 내모시고 제고(祭告)를 올린다고 하여 우제라는 말 대신에 사용하고 있다 개장의 절차에서 우제를 지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논란은 바로 구준의 『가례의절』에 나타난 우제의 절차가 주자의 뜻에 맞는가 하는 문제로서, 결론은 주자의 뜻에 맞지 않는다는 점에 이르고 있다 『사례편람』의 저자 이재(李縡)는 송시열(宋時烈)의 해석에 따라 “개장할 때의 우제는 우암(尤庵)에 의해 주자의 뜻을 어기는 것으로 우제를 삭제하였다 ”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김집(金集)도 “개장할지라도 이미 신은 사당에 계시기 때문에 우제를 지내는 것은 부당하다 ”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견해는 『상례비요』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즉, “구준의 『가례의절』에서는 묘 앞에서 우제를 행하고 또 일반적으로 모두 이에 따르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폐할 수는 없는 것 같은데, 어떻게 했으면 좋을지 모르겠다 ”고 설명하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보아 아마도 『상례비요』가 저술될 당시에는 주자의 예학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상례비요』에서는 『가례의절』에 따라 우제의 절차인 삼헌(三獻)과 사신(辭神)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반면, 『사례편람』에서는 단헌과 사신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실제의 관행에서는 간소화하여 개장을 한다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민가에서는 묘자리를 마련하고 개장일을 택하여 제물을 준비한다 묘제(시사) 때와 마찬가지의 제물을 준비한다 이장의 절차는 개묘에 앞서 토지신제를 지내고 계묘고사를 지낸 다음 새 묘자리로 영구를 운반한다 새 묘자리에서는 다시 토지신제를 지내고 봉분을 만든 다음 묘 앞에서 간략하게 제사를 지내고 집으로 온다 이렇게 하여 이장이 끝나면 상복을 벗는 것이 보통이다 성묘(省墓):봄·가을에 묘를 살펴서 손질하는 민간의례 전묘(展墓)·배분(拜墳)·배소례(拜掃禮) 또는 상묘의(上墓儀)라고도 부른다 주자의 『가례』에 의하면 성묘는 묘제(墓祭)의 한 부분으로 되어 있으나, 본래는 성묘에 제례의 절차가 합쳐져 나중에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손여제(孫汝濟)의 『예서유편(禮書類編)』에 의하면, 묘제는 진나라 때의 여묘(廬墓)로부터 시작되어, 당나라의 개원(開元, 713∼741) 연간에 한식상묘(寒食上墓)의 풍속이 이루어졌다고 하였다 배소례에 대해서는 『개원례(開元禮)』에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즉, 기제사를 지내기 하루 전날에 묘의 영문(瑩門) 밖에서 재배하고 봉분에 올라가 주위에 심은 나무들의 안팎을 두루 살펴 세 번 돌아보고 가시나무와 칡넝쿨·잡초를 잘라 베어내고, 다시 영문 밖으로 나와 재배를 한다고 하였다 한편 『제록(祭錄)』에 의하면, 벼슬길에 얽매여 타향으로 나가 있어 제 때에 배소를 하지 못하면 한식날에 집에서 제사로 대신해도 된다고 하였다 또한 『외서(外書)』에 따르면 10월 1일에 배분(拜墳)을 하는데, 이것은 서리와 찬이슬이 내릴 때에 느끼는 감정 때문이며, 한식 때에도 관습에 따라 배분을 한다고 하였다 이에 대해서 『이굴(理窟)』에는 한식과 10월 1일의 전묘(展墓)는 초목이 처음 생기고 죽기 때문에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가례』에 따르면 묘제는 3월 상순에 날자를 택해 지내도록 되어 있으며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4대 이상의 조상은 한위공(韓魏公)의 설명에 의해 10월 1일에 올리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3월의 묘제에 사용되는 축문은 “계절의 기운이 차례로 흘러 바뀌고 비와 이슬이 봉분을 적시기 때문에, 이것들을 쓸어내려 봉분을 깨끗이 하고자 합니다 ” 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10월 묘제의 축문은 “초목의 잎이 뿌리로 돌아가는 때를 맞아 근본을 갚을 일을 생각하게 되어 감히 봉분을 깨끗이 하고자 합니다 ”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성묘는 봄·가을에 묘를 손질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가 당나라 이후에 봄의 성묘는 한식, 가을의 성묘는 10월 1일로 고정되었고, 그 뒤 언제부터인가 제례의 형식이 첨가되어 묘제로 발전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찍부터 이 배소례가 있었던 것 같다 이언적(李彦迪)의 『봉선잡의(奉先雜儀)』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초·한식·단오·추석에 묘에 가서 배소를 해왔으니, 어떻게 폐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이 날 아침 일찍 사당에서 천식(薦食)을 하고 묘에 가서 상을 차려 배례하는 것이 좋다 만약에 묘가 멀면 2, 3일 전에 묘소에 가서 재계하여 상을 차리고 배례한다 ”고 하였다 또한 송인(宋寅)은 “시제는 국법에 얽매여 증조까지만 지내는데, 묘제와 기제는 모두 고조까지 지내는 것이 옳으며, 5세조(五世祖)는 한식과 추석에, 6세조 이상은 단지 한식에 지내야 한다 ”고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