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뉴스-더쉬운경제] 꿈틀대는 기름값·술값...'세금' 어찌하나? / YTN

[더뉴스-더쉬운경제] 꿈틀대는 기름값·술값...'세금' 어찌하나? / YTN

■ 진행 : 노종면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정철진 경제평론가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올해도 물가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합니다. 적어도 수치상으로는 그렇습니다. 전달 대비 소비자물가지수가 1월부터 4월까지 넉 달 연속 1% 미만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기름값이 오르고 소줏값이 오르고 택시비와 자동차 보험료가 오른 데다 항공료까지 오른다고 하니 체감하는 물가는 수치와 다른 것 같습니다. 오늘은 물가 얘기를 해 보겠습니다. 특히 서민 생활에 밀접한 기름값과 술값에 집중하겠습니다. 기름값 부담을 덜어줬던 유류세 인하폭이 줄고 50년 만에 단행한다는 주류세 개편도 술값을 자극할까 걱정입니다. 쉬워야 경제다, 더 쉬운 경쟁에서 유류세와 주세법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정철진 경제평론가 자리하셨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어서 오십시오. 유류세 얘기부터 해 보죠, 기름에 붙는 세금. 6개월 전부터 인하해 주는 조치가 한시적으로 단행됐잖아요. 그게 지금 완전히 끝난 건 아니에요. [인터뷰] 그렇습니다. 작년 11월에 유류세 15% 인하가 시작이 됐었죠. 워낙 경기도 안 좋고 하니까 또 서민들 부담, 이래서 15%가 됐는데. 당초에 6개월 한시적인 인하였습니다. 그래서 이틀 전, 5월 7일부터는 15%가 인하폭이 줄어서 8월 31일까지 7% 인하가 적용되고요. 그러니까 지금부터 8월 31일까지는 7% 적용이고요. [앵커] 넉 달 동안은 적용되는 거예요. [인터뷰] 그리고 9월부터는 유류세를 다시 제대로 받게 되는 그렇게 되는 상황인 것이죠. [앵커] 일단 지금은 인하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인데 인하폭은 줄인 거잖아요. 이게 어쨌든 오르긴 오르는 거죠? [인터뷰] 그렇죠. 이틀밖에 안 됐는데도 벌써 서울 같은 경우에는 평균 가격 리터당 1600원을 훌쩍 넘어서는 그런 상황이 됐었는데. 좀 더 정교하게 보면 유류세가 보통 리터당 850원대, 900원대 붙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그러니까 15%를 그동안 인하를 해 줬다고 한다면 휘발유 같은 경우에는 123원 정도를 깎아줬던 그런 셈이거든요. 그런데 그거에서 다시 또 줄였죠. 7%로 줄였기 때문에 지금은 리터당 한 65원 정도의 인하된 가격을 보고 있다, 이렇게 보면 될 텐데. 만에 하나 9월 1일이 되면 현 가격 대비, 휘발유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123원이 그냥 올라가는 거예요, 저 자체가 세금이기 때문에. 물론 그때 당시에 국제유가에 따라서 봐야 되겠지만 적어도 9월부터가 되면 지금부터 123원이니까 지금 서울이 리터당 1600원이라고 하면 국제유가의 변동이 없다고 하더라도 바로 1700원대를 만나게 되는 그런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앵커] 저 표를 잠깐 설명드리면 원래 저 돈을 냈던 것이었는데 지난해 11월에는 깎아줬었어요. 그랬다가 일단 반 정도를 환원하고. [인터뷰] 지금은 65원 깎아준 거죠, 휘발유는. [앵커] 그리고 123원이 깎였던 게 이제 9월이 되면 다시 원상 회복이 되는 거죠. [인터뷰] 그렇습니다. [앵커] 국내 휘발유 가격, 오를 때는 빨리 오르고, 국제유가가 오를 때 빨리 오르고 또 내릴 때는 찔끔찔끔 내린다. 이게 유류세 인상, 인하 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지적이 있어요. [인터뷰] 너무나 똑같이 적용이 되면서 국민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큰데요. 일단 각 주유소에는 2~3주 정도의 비축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국제유가가 오르든 내리든, 혹은 이번에 유류세 인하가 줄...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05...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