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중 합동제 단체 행사 준비 중입니다 - 대전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백중 합동제 단체 행사 준비 중입니다 - 대전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백중 #합동제 #단체 #행사 #준비중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Shorts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백중(百中):음력 7월 15일로 백종·중원·망혼일·우란분절 등으로 불리는 세시풍속 중원 음력 7월 15일로 백종(百種)·중원(中元), 또는 망혼일(亡魂日),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고도 한다 ‘백종’은 이 무렵에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백가지 곡식의 씨앗[種子]을 갖추어 놓았다 하여 유래된 명칭이다 영역닫기연원 및 변천 ‘중원’은 도가(道家)의 말로, 도교에서는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일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그때를 ‘원(元)’이라 한다 1월 15일을 상원(上元), 10월 15일을 하원(下元)이라고 하며 7월 15일의 중원과 함께 삼원(三元)이라 하여 초제(醮祭)를 지내는 세시풍속이 있었다 ‘망혼일’이라 하는 까닭은 이날 망친(亡親)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서 술·음식·과일을 차려놓고 천신(薦新)을 하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우란분절’은 불교에서 우란분재(盂蘭盆齋)를 지내는 날을 중국에서 명절화한 것이다 불가(佛家)에서는 불제자 목련(目蓮)이 그 어머니의 영혼을 구하기 위해 7월 15일에 오미백과(五味百果)를 공양했다는 고사에 따라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열어 공양을 하는 풍속이 있다 『목련경(目連經)』과 『우란분경』에 보면, 부처는 지금 살아 있는 부모나 7대의 죽은 부모를 위하여 자자(自咨)주 01)를 끝내고 청정해진 스님들에게 밥 등의 음식과 5가지 과일, 향촉과 의복으로 공양하라고 하였다 이는 신통력으로 자기 어머니가 아귀(餓鬼) 지옥에서 고통 받는 모습을 본 목건련(目犍連)이 어머니의 구원을 부처에게 청원하여 비롯된 것이다 이후 불가에서는 자자를 끝내는 날에 우란분재를 올리는 것이 전통이 되었는데, 중국에서는 양(梁)나라 무제 때 동태사(東泰寺)에서 처음으로 우란분재를 지냈다고 하며, 그 후 당나라 초기에 크게 성하다가 점차 민간풍습으로 축소되었다 오늘날 중국의 우란분절은 도교 행사와 습합된 것이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나 고려 때에는 일반인까지 참여했으나 조선시대 이후로 사찰에서만 행해지고 민간에서는 소멸되었다 백중이 되면 여러 행사가 있어왔다 우선 각 가정에서 익은 과일을 따서 조상의 사당에 천신을 한 다음에 먹는 천신 차례를 지냈으며, 옛날에는 종묘(宗廟)에 이른 벼를 베어 천신을 하는 일도 있었다 농가에서는 백중날이 되면 머슴을 하루 쉬게 하고 돈을 준다 머슴들은 그 돈으로 장에 가서 술도 마시고 음식을 사먹고 물건도 산다 그래서 ‘백중장’이라는 말이 생기게 되었다 백중장은 장꾼들이 많고 구매가 많은 장이다 취흥에 젖은 농군들은 농악을 치면서 하루를 즐기기도 하고 때로는 씨름판이 벌어지며 장터에는 흥행단이 들어와서 활기를 띠기도 한다 이러한 백중 명절은 중부 이남지방이 성대하다 또한 이날은 그해에 농사가 가장 잘 된 집의 머슴을 뽑아 소에 태워 마을을 돌며 위로하며 논다 이것은 바쁜 농사를 끝내고 하는 농군의 잔치로서 이것을 ‘호미씻이’, ‘세서연(洗鋤宴)’, ‘장원례’ 등이라 한다 경북지역에서는 이를 가리켜 ‘풋굿’ 혹은 ‘풋구’라 하고, 호남지역에서는 ‘질꼬내기’라 한다 마을의 지주집에서 음식과 술을 대접하며 한해 농사의 수고를 위무하는 것이다 제주도에서는 일손을 쉬지 않고 바다에 나가 일을 더 많이 한다 백중날에 살찐 해산물들이 많이 잡힌다고 하며 밤에는 횃불을 들고 늦도록 해산물을 따기도 한다 한라산에는 ‘백중와살’이라는 산신이 있어 백중을 고비로 익은 오곡과 산과(山果)를 사람들이 따 가면 허전하여 샘을 내고 바람을 일으킨다고 해서 산신제를 지내는 일도 있다 신라 때에는 백중을 기해서 삼 삼기가 시작되었다 도성 안의 부녀자를 두 파로 나누고 공주로 하여금 각 파를 이끌어 한 달 동안 삼을 삼아 8월 가윗날에 그 성적을 심사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 한턱 내도록 하는 것이다 백중 무렵이 되면 삼이 자라서 그 껍질을 베끼기에 알맞게 익은 때이므로 직조작업을 권장하는 뜻에서 왕녀를 주축으로 하여 집단작업인 두레삼 삼기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마을잔치를 겸하는 방식으로 이장단이나 청년회 등 운영진에서 주최하기도 하며, 마을주민 전체가 모여서 한해 농사의 수고를 위로하고 풍년을 기원한다 음력 7월 15일에 맞추기보다는 양력 8월 15일이 공휴일이므로 이때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전통 명절 기반의 새로운 세시풍속으로 자리 잡고 있다 태아령의 일곱가지 현상 집안에 인공유산된 영가가 있을 경우 유산된 영가의 영향으로 집안식구 중 누군가 이해하기 힘든 행동을 하게 된다 그 중 일곱가지 공통현상을 소개한다 첫째, 소중한 시기에 무기력해진다 한창 공부할 시기의 자녀가 등교거부를 한다거나 죽고 싶어하는 현상이다 그것은 이 세상에 태어날려고 할 때 갑자기 살해되어서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 낙태 당한 영혼의 슬픈 모습이다 둘째, 어두운 곳을 좋아하게 된다 그것은 낙태된 영혼이 어두운 곳에 방황하고 있는 슬픈 모습이다 셋째, 어린이나 유아가 좋아하는 과자와 우유를 마구 먹으려 한다 그것은 저 세상에서 배고파 하는 낙태된 영혼의 안타까운 모습이다 넷째, 손과 발이 차가워진다 그것은 알몸으로 버려진 낙태된 영혼의 비참한 모습이다 다섯째, 부모에게 대들고 반항하게 된다 그것은 자기를 죽인 것에 대한 반항으로 부모를 미워하거나 부모를 죽이고 싶은 낙태된 영혼의 분노한 모습이다 여섯째,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부모형제들과 함께 있어도 자신을 고독해서 견딜 수가 없다고 한다 그것은 부모로 부터 버림받고 세상으로부터 외면당한 낙태된 영혼의 괴로워하는 모습이다 일곱째, 돈을 마구 써 버린다 그것은 자기가 성장할 때까지 필요한 금액을 물 쓰듯이 써버리고 싶어하는 낙태된 영혼의 당돌한 모습이다 태아령 천도공양법 우리의 조상들은 아기가 태어나면 정신기운이 형성되는 49일 동안 삿된 기운이 범치 못하도록 출입을 통제하는 금줄을 쳤다 아기에게 나쁜 영향을 미칠까 염려하여 7·7일 동안 포수는 사냥을 하지 않고 근신하였으며 집안에서도 살생을 삼가하고 남을 속이거나 악담을 삼가하였다 이승의 삶을 마치고 영혼의 여행길에 나선 영가에게도 49일 간의 정성은 더욱 중요하다 우리가 여행할 때에도 친절한 안내를 받으면 헤매이지 않듯이 7·7일 동안 영가를 위한 기도는 저승길을 밝혀주는 한줄기 빛이다 참회와 발원 ① 태아령을 천도하고자 하는 이는 먼저 목욕재계하고 정성스런 공양물을 준비해 지장보살 전에 올린다 ② 지장보살 전에 몸과 마음을 기울여 108배의 큰 절을 올린다 ③ 절 한번 할 때마다 지장보살 멸정업진언 ‘옴 바라 마니 다니 사바하’를 일곱번씩 염송한다 ④ 예배가 끝나면 고요히 앉아 지장보살님의 모습을 마음에 그리며 지장보살 명호를 천 번 이상 부른다 ⑤ 마지막으로 지장보살 십선계를 낭송하여 이기적 삶의 태도를 반성하고 대승보살의 삶을 발원한다 6 사경(寫經)과 사불(寫佛) 태아령의 천도를 위한 기도는‘반야심경’ 사경과 ‘지장보살’ 사불을 권한다 절실한 참회의 마음과 진실한 천도의 마음을 내어 사경과 사불의 기도를 49일 동안 행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사경신앙의 근본은 1자 1불(一字一佛)의 신앙이다 경전의 한 글자 한 글자가 바로 한 부처님이라는 가장 공경스러운 믿음으로 한 점 한 획에 불상을 조성하는 정성으로 서사하여야 한다 한편의 사경과 사불이 끝나면 경문 옆에 ‘태아령 왕생정토발원’이라 쓰고 사경일자와 본인의 이름을 쓴다 조상 자기 세대 이전의 모든 세대를 일컫는 말로, 반댓말은 후손이다 자신의 직계 혈통만을 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과거 살아있던 같은 민족의 모든 사람을 뭉뚱그려 칭할 때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으론 조상님의 지혜 등 일반적으로는 할아버지, 할머니까지는 조상보다는 가족으로 생각하고, 그 위 세대부터가 조상이라는 인식이다 한국 같은 경우에는 조선인(대한제국에 시대에 살았던 사람도 포함)을 조상으로 불린다 일찍이 유교 문화가 강한 동아시아권에서는 특히 조상을 잘모시는것이 매우 중요했다 조선시대 양반집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2가지가 바로 손님을 융숭히 대접하는 접빈객(接賓客)과 제사를 지내는 봉제사(奉祭祀)였다 봉제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불효자가 되는 것이었다 후손들은 집안에 자랑스러운 조상이 있으면 고개가 으쓱해질 수 있지만 부끄러운 조상이 있으면 고개를 들기도 힘들다 물론 신경 안 쓰고 사는 사람도 많다 사실 조상의 죄를 들어 후손을 욕하거나 처벌하는 행위는 도덕적으로도 법적으로도 옳지 않다 따라서 조상 중에 부끄러운 행동을 한 사람이 있다고 해서 후손이 죄책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조상이 한두 명도 아니고 그중에 죄 안지은 사람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후손들이 원죄를 지고 있는 것처럼 취급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현대법치국가들 중에 연좌제가 왜 인정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보자 다만 연좌제는 그 발상자체가 왕조국가의 권력안정성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민주주의적 시각에서 연좌제를 비판하고 지양하는 것을 무조건 옳은 것이라 단정하기는 힘들다 애초에 친족의 잘못으로 사회적 비난과 지탄을 받는 것과 연좌제를 같은 선상에서 두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무지한 행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