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김정은 '민방위 무력 열병식' 참석...딸 주애와 주석단에 나란히 앉아 / YTN
[앵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정권수립 75주년 '9·9절'을 맞아 열린 '민방위 무력열병식'에 참석했지만 연설은 하지 않았습니다. 김 위원장은 딸 주애와 주석단에 나란히 앉았습니다. 통일외교안보부 최두희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이번이 올해 세 번째 열리는 열병식 아닙니까. 일단 내용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일단은 열병식은 어제 열렸습니다. 그리고 예고편을 보면 오늘 같은 경우에는 조선중앙TV에서 오늘 어떤 순서로 하겠다, 이런 식의 예고 방송이 나왔는데 예고에는 없었지만 조금 전 낮 12시부터 북한 매체인 조선중앙TV에서 녹화 방송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열병식은 약 1시간 가까이 진행된 것으로 보이는데요. 북한은 어젯밤 늦게 식전 행사를 연 데 이어 오늘 새벽 0시부터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병식을 진행했습니다. [앵커] 민방위 무력 열병식이라고 했는데 어떤 내용인 겁니까? [기자] 그러니까 민방위 무력 열병식이라고 북한에서 이름을 붙였는데 이번 열병식은 그러니까 조선인민군, 그러니까 북한 정규군이 아닌, 우리 예비군에 해당하는 그 노동적위군 부대를 위주로 진행이 되었습니다.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을 비롯한 북한의 전략무기도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열병식이 아니라 ICBM이 없는 열병식이었던 셈입니다. 대신에 모터사이클 종대 등이 평양의 김일성광장을 누볐습니다. 또 트랙터나 트럭 같은 생활노동장비가 주로 등장했는데요. 앞서 지난 2021년 노농적위군 중심의 민간 무력 열병식과 비슷한 모습이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앵커] 그 열병식의 관전 포인트라고 하면 어떤 것을 볼 수 있을까요? [기자] 일단 열병식이 시작되기 전에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했던 관전포인트가 세 가지 정도가 있는데요. 일단은 지난 7월 열병식에 이어서 이번에도 북중러의 결속을 보여주는 자리가 될 것인가 하는 것이 첫 번째 포인트고요. 두 번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연 이번에는 육성연설을 했을지,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딸인 주애가 이번 열병식에 등장할지 정도로 꼽을 수가 있었는데 일단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북중러의 결속 그림은 결과적으로는 그려지지는 않았습니다.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이번에는 연설을 안 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는데요. 김 위원장은 지난 2월 그리고 7월 열병식에서도 연설을 안 했습니다. 그래서 두 번은 안 했으니까 이번 열병식에서는 연설을 할 거다, 이런 관측들이 나왔던 것도 사실인데 결국에는 안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다만 김 위원장은 어제 북한 매체들이 보도로 나온 지난 6일 열렸던 전술핵공격잠수함 김군옥영웅함 진수식에서 6개월여 만의 육성 연설에 나섰습니다. [앵커] 그리고 이번에 딸 김주애가 또 나왔는데... 돋보였어요. 눈에 띄는 주인공이라고 보면 되겠습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번에는 김주애를 의도적으로 부각시킨 그런 편집이 눈에 띄었다…. 일단 열병식 녹화방송을 봤을 때 그렇게 판단이 되는데 그런 이유들에 대해서 한번 영상을 보면서 설명을 드리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같은 경우는 딸 주애와 함께 열병식에 참석을 했는데요. 주애가 앉은 자리에 주목해야 됩니다. 주애는 김 위원장과 주석단에 나란히 앉은 모습이 나왔는데요. 김 위원장과 주애가 이렇게 둘이 클로즈업되는 모습도 나왔고 김 위원장이 딸 주애와 함께 웃거나 박수 치는 그런 화기애애한 모습들이 영상에... (중략) YTN 최두희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309...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