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北, 원하는 비핵화 제재 준비 안 됐다" / YTN
■ 출연 : 김지선·왕선택·김희준 기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김지선] 네. 여기는 하노이입니다. 세계의 관심을 모았던 북미 정상의 두 번째 만남은 결실을 보지 못했습니다. 오전까지는 분위기가 괜찮았는데 결정적으로 비핵화 조항을 다듬는 과정에서 틀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은 한쪽 이야기만 들었습니다. 북한에서 어떤 반응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와 김희준 워싱턴 특파원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이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합의가 무산된 이유를 좀 구체적으로 설명을 했어요. 내용을 정리해 주시죠. [김희준] 그렇습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국무장관, 오늘 갑작스런 회담 결렬에 대한 이유를 조목조목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 결렬의 이유가 북한이 너무 전면적인 제재 완화를 원했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밝혔습니다. 결국 비핵화 조치와 북미가 원하는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의 조합을 둘러싸고 양측의 이견이 아주 컸다는 점을 밝힌 건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 의지가 있다라고 밝히면서도 완전하게 , 그러니까 비핵화를 원하지만 실질적으로 미국이 원하는 전면적인 비핵화를 할 의지는 없더라, 이런 부분을 강조하면서 그렇게 비핵화 의지가 없으면서도 제재에 대한 전면적인 완화를 요구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들어줄 수가 없다라는 점을 강조를 했습니다. [김지선]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비핵화와 상응조치의 조합이 틀어졌다라고 보면 되는 거죠? [김희준] 그렇습니다. 그동안 북한이 가장 원하는 것은 종전선언과 연락사무소 이런 얘기도 있었지만 가장 원했던 것은 제재를 완화해서 북한이 원하는 특히 김정은 위원장이 그동안 추진해온 경제발전 부분에 대한 그런 고리를 푸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 집권 8년 차를 맞아서 이 경제 발전에 박차를 가하는 데 가장 모든 힘을 모아왔었죠. 우리가 신년사에서도 봤듯이요. 특히 핵 경제 병진 노선 추진에서 이제는 경제발전에 더 방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것을 이루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북한의 손발을 묶고 있는, 그리고 돈줄을 묶고 있는 UN안보리제재 해제라든가 미국의 독자제재 해제가 절실한 상황이었는데요. 이런 면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전면적인 제재 완화를 원했지만 미국으로서는 이걸 그냥 내줄 수는 없는 상황이었고요. 영변핵폐기에 더해서 더 추가 핵시설에 대한 공개라든가 이런 폐기를 원했고요. [김지선] 그 부분도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제재가 결국에는 발목을 잡았습니다. 북한이 가장 원하는 게 제재였고요. 미국에서는 완전한 비핵화 전에는 제재는 유지된다라는 원칙적인 입장을 트럼프 대통령이 몇 번씩이나 강조를 했습니다. 제재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국내의 비판적인 여론을 향해서도 하는 메시지의 성격이 강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영변 외외 추가 비핵화를 요구했다는 사실도 밝혔습니다. 이게 우라늄 농축 시설이냐고 묻자 그렇다고 했어요. 당초 비핵화 조항을 놓고 영변 핵시설 폐기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비핵화 조치. 이른바 플러스알파가 나와야 한다 이런 이야기가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게 이걸 얘기하는 거겠죠? [왕선택] 다른 생각을 하고 싶습니다. 죄송합니다. 다시 한 번 질문해주세요. [김지선] 트럼프 대통령이 영변 외에 추가 비핵화를 요구했다는 사실을 밝혔는데 그동안 우리 언론에...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190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