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전정 #라일락 #전지하기 #조경과구들장 #귀농 #귀농귀촌 #귀촌 #귀촌생활 #수수꽃다리 #조경수 #전지요령

#정지전정 #라일락 #전지하기 #조경과구들장 #귀농 #귀농귀촌 #귀촌 #귀촌생활 #수수꽃다리 #조경수 #전지요령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귀농귀촌 생활 노하우 공유채널 입니다 라일락 전지하기 모든 나무는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하여 해마다 성장을 하게 됩니다 성장하지 않는 나무는 병이 들거나 세력이 노쇠 하여 지면서, 점점 쪼그라 들어, 결국에는 고사 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정원에서 키우는 나무는,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새로 자라는 신초나 자라면서 복잡해진 가지 등을 정리하여,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수형, 생리적으로 건강한 나무로 가꿀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라일락은 꽃이 지기시작하면 바로 종자가 생기기 시작하는데 이때 종자를 생산할 필요가 없는 경우 에는 쓸데없는 영양소비를 줄이기 위해 열매를 모두 제거해 주는게 좋겠습니다 왜냐하면 나무가 목대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내년에 꽃피울 때 충분히 사용되어야 할 영양분을 종자 생 산을 위하여 소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라일락은 7~8월경에 올해 신초로난 햇가지에서, 내년의 꽃눈이 맺히기 때문에, 도장지나 세력지, 복잡한가지, 교차지, 허약지, 병든가지, 고사지, 움튼가지, 역지 등을 정리하고 튼실한 가지를 적당히 남겨 놓는, 중간형태의 정지전정을 하여 주되, 툭툭 튀어나온 가지나, 처진가지, 등 수형을 허트릴 만한 가지는 길이를 조절해 주거나 아예 잘라 없애 보기 흉하지 않게 해 주면 되겠습니다 저희처럼 지난해 6~7월에, 가지 정리를 못 해준 경우라면, 가지의 끝에 꽃망울이 자라고 있기 때문에, 될수 있는한 가지의 끝은 건드리지 말고, 죽은 가지와 복잡한가지, 교차지, 병든가지, 도장지, 역지, 움튼가지, 허약지 등을 정리하여 햇볕길과 바람길을 열어 주는, 최소한의 정지, 약전정을 해주면 되겠습니다 우리나라에 자생식물 라일락 종류는 개회나무, 꽃개회나무, 버들개회나무, 붉은정향나무, 섬개회나무, 수수꽃다리, 털개회나무, 털꽃개 회나무 등 20여종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봉화군 춘양면에 있는 국립종자보관소(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에 신청하면 대략 수수꽃다리속 자생식물 10여 종의 종자를 분양 받으실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요즘 정원에 주로 심는 재배식물로는 들정향나무, 미스김라일락, 서양수수 꽃다리, 시링가 메이어리 '팔리빈' (팔리빈라일락) 등이 있습니다 대부분 꽃집이나 묘목판매점에서 구매할수 있습니다 오늘의 라일락 정지전정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동영상이 유익했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 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조경과구들장이였습니다 끝까지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