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관악 고양이 집단감염 역학적 해석 불가능...원인은? / YTN

용산·관악 고양이 집단감염 역학적 해석 불가능...원인은? / YTN

■ 진행 : 조예진 앵커 ■ 화상연결 : 나운성 전남대 수의과학대 바이러스학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서울 용산구에 이어 서울 관악구에서도 보호소 고양이의 AI 감염 의심사례가 나왔습니다 시기나 거리상 두 곳의 역학적 관계를 따지긴 어려워 당국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이르면 내일쯤 용산구 사례와 함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인지가 발표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전문가 연결해 점검해보겠습니다 나운성 전남대 수의과학대 바이러스학 교수님과 함께합니다 교수님 나오셨습니까? 현재 서울 관악구 고양이 집단감염 사례에 대해 당국이 고병원성 여부 정밀검사에 들어갔습니다 내일쯤 용산 사례와 함께 발표될 것 같은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나운성] 어젯밤에 관악구 소재 민간 동물보호소에서 한 고양이가 인근 병원에서 식욕 부진, 호흡기 증상으로 진료받던 중에 폐사하였고요 진료를 했던 동물병원장이 검역본부에 신고했습니다 병원에서 폐사한 고양이가 같이 생활하던 동물보호소에 있던 또다른 고양이 10마리 고양이 전수조사를 했고 추가로 H5형을 2마리가 감염 증상을 보였습니다 추가로 H5가 고병원성인지 저병원성인지 감별하는 정밀진단 중에 있습니다 [앵커] 당국이 긴장을 하고 있는데 어떤 점을 지금 주목하고 있을까요? [나운성]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어떻게 유입이 되었는지 원인 파악이 가장 우선입니다 그래서 조류독감이 주로 발생하는 철새 도래지 근처나 가금 사육 환경이 아니고 현재 시내 한복판에 감염체가 들어왔다는 것인데요 고양이 활동 패턴상 조류의 분변을 직접적으로 섭취하거나 만지거나 냄새를 맡거나 그러지는 않거든요 그래서 감염된 조류나 혹은 감염된 포유류 개체를 직접 접촉했거나 혹은 섭취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앵커] 유입 경로를 가장 주목해서 살피고 있을 것이다,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고요 이번 사례가 더욱더 걱정이 되는 게 용산구 고양이 집단감염 발생 후에 나흘 만입니다, 이번 사례가 그런데 거리상 역학적인 관계를 따져볼 수 없다는 점이거든요 어떻게 보십니까? [나운성] 조금 전 말씀드렸지만 철새도래지 근처, 그리고 가금사육 근처로부터 서서히 발생해서 수도권 안으로 들어오고 시내로 들어오는 이런 역학거리가 발견되지 않고 있거든요 그래서 급격하게 감염된 조류나 포유류 개체도 서울로 급속히 유입된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길고양이가 직접 접촉 혹은 섭취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역학적 고리를 풀기는 아직 상당히 난항이 예상됩니다 [앵커] 그래도 추정을 하신다면 이번 관악구 사례는 어떤 원인으로 추정하고 계실까요? [나운성]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고양이 활동 패턴상 조류의 분변을, 조류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소화기에서 증식되기 때문에 조류는 분변을 통해서 바이러스를 내뿜습니다 그런데 고양이는 이 분변을 직접적으로 섭취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고요 그래서 감염된 조류나 포유류를 직접 접촉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관악구에서도 [앵커] 알겠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이따 조금 더 조사를 해 봐야 될 것 같고요 지금 이 고양이들이 있었던 장소가 긴급 방역 조치를 했다는 하는데 직접적으로 이 고양이들을 접촉한 동물병원, 그리고 보호소 종사자들은 어떤 조치가 있었나요? [나운성] 지금 서울시에서 해당 장소를 다 소독하고 출입 통제, 긴급 방역을 했고요 그리 (중략) YTN 김정회 (junghkim@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