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돋이 명소·스키장 연말연시 폐쇄에…숙박 취소 혼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해돋이 명소·스키장 연말연시 폐쇄에…숙박 취소 혼란 [앵커] 연말연시를 앞두고 해돋이 명소 같은 주요 여행지의 호텔 등 숙박시설은 대부분 예약이 꽉 찬 상태였는데요 정부가 스키장 등 겨울스포츠 시설 운영을 중단하고 관광명소도 폐쇄하기로 하자, 숙박업체들에 취소 문의가 쇄도하고 있습니다 한지이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의 방역 강화 대책 발표 이후 숙박업체엔 예약 취소 문의가 줄을 잇기 시작했습니다 크리스마스부터 새해까지 연말연시 성수기에 때아닌 된서리를 맞았습니다 [호텔업체 관계자] "현재 이런 (취소) 문의로 전화가 폭주를 해서 저희가 또 확인이 지연돼서 최대한 빠르게 확인을…" 갑작스러운 방역 지침 강화에 여행 계획을 취소하는 이들이 늘면서 숙박 시설 환불이나 위약금과 관련한 혼선도 빚어지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소비자분쟁해결 기준에 따라 거리두기 2 5단계 때 예약을 취소하면 위약금의 50% 감면하도록 명시하고 있지만, 합의·권고 기준이어서 강제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온라인 예약플랫폼 업계는 제휴된 숙박업체의 규정에 따를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온라인 예약플랫폼 관계자] "취소와 환불을 결정하는 권한은 각 상품 공급자인 숙소 시설에 있습니다 여행상품 예약 플랫폼들은 각 숙소의 환불정책에 따라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고, 피해 방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정부는 운영이 중단되거나 제한되는 시설에 대해 지원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 "감염병 발생에 따른 위험 수준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조치 수준에 따라서 국민들께서 피해를 보지 않도록 바로 후속 조치 등을 시행할…" 정부는 전국 숙박시설을 대상으로 객실의 50% 이내만 예약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역 대책을 발표했지만, 이미 연말 예약이 만실인 상황이다 보니 숙박업소 피해와 위약금 문제는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 (hanji@yna co 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