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생태계의 반격…황소개구리 급감 / KBS뉴스(News)

토종 생태계의 반격…황소개구리 급감 / KBS뉴스(News)

토종 생태계를 위협하던 황소개구리가 요즘 자취를 싹 감췄습니다. 어찌 된 일인가 했더니, 가물치나 메기 같은 토종 물고기들의 반격에 포식자에서 먹잇감으로 처지가 뒤바뀐 게 원인이었습니다. 황정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날렵하게 뱀을 덮치더니 통째로 집어삼킵니다. 먹이가 부족하면 동족도 잡아먹는 무서운 식성으로 토종생태계를 점령했던 황소개구리. 어찌 된 일인지 몇 년 전부터 개체 수가 급격히 줄었습니다. 황소개구리 천지였던 이 작은 저수지에서도 요즘 통발에 잡히는 건 올챙이 몇 마리뿐입니다. [조영관/주민 : "황소개구리 (우는) 소리 때문에 창문을 열고 잠을 못 잘 정도였는데, 요즘은 아주 조용해져서 살맛 납니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국립생태원 조사 결과, 청주 무심천에서는 2012년 이후 황소개구리가 사라졌고, 전남 신안 하의도에서는 개체수가 10년 만에 1/50, 무안 평척저수지에서는 1/7로 줄었습니다. 전문가들은 황소개구리가 줄어든 이유로 토종 생태계의 반격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습니다. 토종 육식어류인 가물치와 메기가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잡아먹는 사실이 대학 연구팀에 의해 확인됐습니다. 토종 생태계가 국내에 유입된 지 수십 년이 지나면서 처음엔 생소해 멀리했던 황소개구리를 먹잇감으로 보기 시작했다는 분석입니다. [유영한/공주대 생명과학과 교수 : "단백질이 많고요. 행동이 느리기 때문에 포식자로서 먹이로 사용하기에 최고로 좋습니다. 다시 말하면 먹이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에서는 먹이그물이 형성된 거죠."] 생태계의 무법자 황소개구리도 토종 생태계의 반격에 맥을 못 추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정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