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밥상] 주꾸미 맑은탕부터 찜까지! 전통 ‘소라방 잡이'로 잡은 제철 주꾸미 밥상 | “추워야 제맛 - 봄을 품은 겨울 밥상” (KBS 210218 방송)
한국인의 밥상 (목요일 저녁 7시 40분 KBS1) “추워야 제맛 - 봄을 품은 겨울 밥상” (2021년 2월 18일 방송) 기나긴 추위를 견디고 우리 곁으로 온 겨울날의 선물, 주꾸미, 한천, 냉이, 매생이! 초록빛 움트는 계절, 향긋한 봄 내음 깃든 밥상으로 한 발짝 다가온 새봄을 맞이하다! * 고흥의 봄은 먼바다로부터 온다, 주꾸미와 산파래 전남 고흥의 한 바닷가, 유인숙·소병철 씨 부부는 주꾸미잡이에 한창이다 소라 껍데기를 이용해 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방법, ‘소라방 잡이’로 주꾸미를 잡는 두 사람! 어느새 배 위에는 제철 맞은 주꾸미가 가득하다 돌아가신 어머니의 고향이기도 한 고흥, 이곳 바다가 좋아 바다에서 일하게 되었다는 인숙 씨! 6년 전 귀향한 부부는 서울살이의 고단함을 잊고 매사 감사한 마음으로 살아간단다 귀향 후 바다 일이 처음이었던 인숙 씨가 늘 걱정인 언니 경희 씨는 동생의 든든한 조력자가 되어 응원을 아끼지 않는다고 물오른 주꾸미와 산파래, 각종 해산물로 차린 인숙 씨 가족의 바다 향 가득한 한 상을 만나본다 이맘때 고흥에서는 주꾸미를 시금치와 함께 즐긴다 주꾸미 시금치 무침은 새콤달콤한 맛과 향이 입맛을 돋운다 주꾸미를 말리면 꾸덕꾸덕한 식감이 생겨 굽거나 쪄 먹기에도 안성맞춤 볕 좋고 해풍 부는 고흥에서 말린 주꾸미를 쪄 유장을 발라주면 주꾸미 양념 찜이 완성된다 친구들과 먹을거리 나누기를 좋아했던 생전의 어머니, 그런 어머니를 닮아서인지 손이 크다는 인숙 씨 직접 잡은 문어를 넣고 어머니께 팥죽을 쒀 드렸던 기억이 선명하다 어머니를 향한 그리움이 담긴 문어 팥죽은 가족들의 기운을 북돋아 줄 보양식이기도 하다 양념한 산파래를 신우대(조릿대)에 돌돌 감아서 구워 먹는 바지락 산파래 구이는 인숙 씨 가족의 별미! 파래와 새우, 키조개를 다져 넣고 부친 해물전과 주꾸미 맑은탕까지, 가족의 사랑이 배어있는 한 상이다 * 밀양의 겨울이 빚어낸 맑은 풍경, 한천 밥상 밤낮의 기온 차가 큰 경남 밀양의 산자락, 예로부터 한천(寒天) 말리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밀양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한천을 생산한단다 늦은 봄에서 초가을 사이 바닷가에서 채취한 우뭇가사리를 고아 만든 것이 ‘우무’인데, 겨울철 우무를 말려 두면 얼었다 녹기를 반복하며 투명한 한천이 된다 축구장 약 20배 크기의 농경지에서 한천을 말리는 모습은 찬 바람 불 때만 볼 수 있는 진풍경! 한천 말리기 작업에 나선 여든한 살 유춘자 씨는 한천이 ‘효자’보다 낫단다 농한기 어르신들의 용돈 벌이에 한천 작업만 한 것이 없다고 게다가 식이섬유가 풍부한 한천은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기 제격이라는데, 윤귀애 씨와 마을 어르신들이 함께하는 한천 밥상을 만난다 콩국을 만들어 우무를 곱게 썰어 넣고 고명을 올린 우무콩국 한술 뜨면 시원한 맛이 목으로 훌훌 넘어간다 우무는 말리는 모양에 따라 실처럼 생긴 실 한천, 네모난 각 한천이 되기도 하는데, 한천을 찬물에 담가 불려 미역과 무치거나 굴, 무와 함께 무쳐 먹어도 별미다 볶은 소고기, 각종 채소와 실 한천을 함께 버무린 잡채는 영양이 가득하면서 열량이 낮아 건강식품으로 좋단다 포만감을 주면서 별다른 맛을 내지 않아 다른 재료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한천 밥상, 오랜 시간에 걸쳐 탄생한 한천이 어르신들의 오랜 지혜와 만나 밥상 위에서 빛난다 추운 겨울 부지런히 일하느라 고생했던 이들에게 맑고 투명한 한천이 시원한 위로를 안겨준다 * 거친 세월 지나 찾아온 봄 - 무주 치목마을 전북 무주의 양지바른 치목마을은 삼베 짜는 집이 많아 ‘삼베마을’로도 불린다 언 땅이 풀리는 이맘때, 치목마을에서는 겨울 냉이 캐기에 분주하다 구순(九旬)을 바라보는 마을 주민 김영자 씨는 겨울이 추워서 고달파도 제 몸을 유지한 냉이가 더욱더 달단다 농한기면 끊임없이 들려오는 짤깍이는 베틀 소리 마 섬유의 원재료인 삼은 3월에 씨를 뿌려서 7월에 수확한다는데, 삼베 길쌈은 서른 가지 넘는 과정을 거쳐 의복, 이불 등으로 탄생한다 어릴 적 어머니가 삼베를 짜면 베틀 아래에서 잠들고는 했다는 손순임 부녀회장! 때로는 고단하고 삼베처럼 거칠었던 세월 지나 맞이하는 봄은, 추위를 이겨낸 겨울 냉이처럼 향긋하다 치목마을 주민들의 봄 마중 밥상을 만나보자 마을 주민들이 모여 삼베 길쌈할 때마다 큰 가마솥에 끓인다는 돼지등뼈 시래깃국 한 솥을 끓이면 여러 마을이 나눠 먹을 만큼 푸짐하다 땅에서 자란 보물, 갓 캐온 겨울 냉이로 만든 겉절이는 봄 내음을 가득 담은 맛! 전으로 부쳐 먹어도 은은한 향이 입안에 퍼진다 말려둔 가죽나물(참죽나물)로 부치는 전은 담백한 맛이 구미를 당기는데, 줄기를 잡고 뜯어 먹는 재미가 있다 늙은호박을 채 썰고, 무늬가 얼룩덜룩해서 이름 붙은 ‘호랑이 콩’을 멥쌀가루와 함께 버무려 찌면 호랑이 콩 시루떡이 완성된다 옥수수 껍질을 벗긴 후 울타리콩, 팥과 함께 푹 삶은 강냉이 콩죽은 예로부터 즐겨 먹던 별미! 소박한 한 그릇에 옛 추억이 묻어난다 바지런한 손길로 차린 밥상에는 봄이 한 걸음 먼저 와 있다 * 갯바람 불면, 초록빛 별미와 만난다! - 장흥 매생이 전남 장흥에 자리한 내저마을, 겨울이면 장삼희 씨 부부가 매생이 수확에 나선다 바다에 엎드려 대나무 발에 붙은 매생이를 걷어내는 고된 작업에도 부부는 매생이를 따서 자식들을 키웠다며 활짝 웃는다 남편의 고향인 장흥으로 돌아와 바닷가에서 30여 년을 보낸 삼희 씨는 매생이 농사로 1년을 먹고사는데, 매생이에 관해 자긍심이 대단하다 삼희 씨와 긴 시간을 함께한 이웃 김광엽 씨는 감태를 따서 말리기도 하는데, 겨우내 채취한 매생이와 감태는 밥상 위에서 푸른 별미로 거듭난다 다가오는 봄, 서로 품어 안고 살아간다는 삼희 씨와 광엽 씨의 봄기운 머금은 한 상을 만난다 감태에는 바다의 향이 있다는 삼희 씨! 감태의 맛을 아는 사람만이 그 향을 느낄 수 있단다 소금으로만 간을 맞춘 감태지는 숙성해서 먹으면 맛이 깊어진다 매생이는 감태보다 검푸른 빛을 띠는데, 반죽에 매생이를 풀고 굴을 올려 부친 매생이 굴전은 싱그러운 색감과 맛으로 입맛을 사로잡는다 돼지비계를 볶다가 매생이를 넣고 국물 없이 볶으면 젓가락으로 먹을 수 있는 매생이 돼지고기 덖음이 완성된다 굴을 넣고 한소끔 끓인 매생이굴국은 뜨거운 김을 품고 있기에 혀를 데기 일쑤! 그래서 ‘미운 사위가 오면 매생잇국을 끓여 준다’는 우스갯소리도 재미있다 바다가 내어준 향기로운 밥상으로 겨우내 움츠렸던 몸을 일으킨다 ※“추워야 제맛 - 봄을 품은 겨울 밥상” 관련영상 더보기 주꾸미 맑은탕부터 찜까지! 전통 ‘소라방 잡이'로 잡은 제철 주꾸미 밥상 밥상 위 푸른 별미, 겨우내 채취한 매생이와 감태 ※ [한국인의 밥상] 인기 영상 다시보기 (풀영상) 삼겹살, 참을 수 없는 즐거움! (풀영상) 한우애(愛) 빠지다! (풀영상) 어묵과 오뎅, 그 100년의 기억 화교들의 최고의 창작품! 짜장면 뜨거운 대구! 매운 맛에 빠지다 긴 오징어 가뭄 끝에 찾아온 풍어! 그래서 물회도 풍요롭다 한 여름 무더위 걱정 없는 모자의 여름 보양식! #주꾸미 #제철음식 #봄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