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약한 올페의 회상, 화장장에서 (천지윤 해금, 백병동 작곡)
게시일: 2016 11 6 contact jiyoon hg@gmail com 천지윤의 해금 : 관계항2 : 백병동 2016 10 5 금호아트홀 백병동 작곡 빈약한 올페의 회상 화장장火葬場에서 공연소개 본 공연은 작곡가 백병동의 후기 작품에 해당하는 해금을 위한 일곱 개의 작품을 연주하고자 한다 기존에 발표된 '비우고, 가고'‧'뒤틀림에서 초연超然의 피안彼岸으로'․'명冥-2'․'운韻-7'과 더불어 2016년 백병동의 팔순을 기념하여 위촉한 '소리의 행방行方'․'빈약한 올페의 회상'․'화장장火葬場에서'를 초연한다 이는 백병동이 해금을 위해 작곡한 전 작품으로, 백병동이 태생적으로 갖는 한국적인 정서와 우리음악에 대한 통찰을 평생에 걸쳐 확립한 자신의 음악언어에 투영하여 탄생시킨 작품들이다 본 공연을 통해 한국 근현대사를 음악으로 관통하며 현대음악계에 커다란 궤적을 남긴 거장 백병동과 전통음악에 깊숙이 천착하여 전통어법을 체화함과 동시에 현대적인 주법과 음색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젊은 연주자 천지윤의 합작품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천지윤의 해금 : 관계항은 한 가지 주제에 천착하여 탐구한 후 전통적인 맥락과 현대적인 맥락 사이의 음악적 접점을 발견하고, 이렇게 발견된 음악을 중심으로 다양한 매체를 통합적으로 이용해 개성적인 예술세계를 펼쳐가고자 한다 천지윤의 해금 : 관계항2 : 백병동 프로그램 1 비우고, 가고 2010 해금_천지윤, 클래식기타_이성우 2 뒤틀림에서 초연의 피안으로 2010 해금_천지윤, 클래식기타_이성우 3 명冥-2 2004 해금_천지윤, 타악_김웅식 4 운韻-7 2011 해금_천지윤, 타악_김웅식, 이규봉 5 소리의 행방 2016_초연 해금_천지윤 6 빈약한 올페의 회상 2016_개작 초연 해금_천지윤, 피아노_이혜진 7 화장장에서 2016_개작 초연 해금_천지윤, 피아노_이혜진 작품과 관계된 詩 빈약한 올페의 회상 최하림 詩 1966 나무들이 일전日前의 폭풍처럼 흔들리고 있다 퇴각하는 계단의 광선이 거울을 통과하며 시간을 부르며 바다의 각선脚線 아래로 빠져나가는 오늘도 외로운 발단發端인 우리 아아 무슨 근거根據로 물결을 출렁이며 아주 끝나거나 싸늘한 바다로 나아가고자 했을까 나아가고자 했을까 차가운 결정을 한 가지 새에서 헤매임의 어휘에 걸려 나나히 무거운 팔을 흔들고 나의 가을을 잠재우라 흔적의 호수湖水여 아아 유리디체여! 달빛이 죽어버린 철판 위 빛낡은 감탄사를 손에 들고 어두운 얼굴의 목이 달을 돌아보면서 서 있다 들어가라 들어가라 계량하지 못하는 조직 속 심연 끝에 붉은 황혼이 다가오면 우리들의 결구結句도 내려지리라 들어가라 하체下體를 나부끼며 해안海岸의 아이들이 무심히 선 바닷속으로 노래를 잃어버린 신神들의 항구港口를 지나서 하체下體를 나부끼며 해안海岸의 아이들이 무심히 선 바다 속에서 화장장火葬場에서 정건모 詩 1968 벽壁은 무언無言의 요설饒舌 속에서 독용毒茸처럼 찌푸린 표정으로 음산한 그의 영역領域을 지키고 서 있었다 때때로 이 벽에선 요령搖鈴이 울리고 항쟁抗爭의 기치旗幟처럼 나풀거리던 서러운 숨결, 이파리는 이파리대로 저마다의 아쉬움으로 해서 뒤설레이는 것이다 억겁億劫을 두고 소리없이 흩날리던 낙엽들 아아 여기 그들의 마지막 승화昇華를 위하여 무수한 풀잎의 청태靑苔 사이로 풀벌레만 우는가 오리나무 백화白樺 무성한 그림자에 어쩌라 새들이 짖어귀는다 지금은 욕된 삶- 이토록 밀려온 파멸의 절정에서 마음은 사라지는 해일海溢, 우리도 마침내 저같이 영겁에서 두견의 울음으로 소생하려는 것일까! 삶이란 이 기름지고 육중한 땅 위에 잠시 끼치고 가는 나의 아쉬운 자욱 통곡하여도, 시름은 이 고을 허전한 막바지에 메아리 되어가고, 서글픈 사연인가 녹슬은 쇠문을, 아아 비가 나린다 백병동 現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역임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독일 하노버 음악대학 수료 작품 독주곡, 실내악곡, 관현악곡, 오페라, 칸타타 등 100여 곡 작곡 저서 '음악이론, '화성학', '대위법', '현대 관현악 기법', '현대음악 분석', '비교 작곡가론', '작품을 통한 현대음악의 흐름', '교양의 음악', '일곱개의 페르마타', '소리 혹은 속삭임' 등 수상 대한민국 작곡상, 대한민국 예술원상,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 한국음악상, 서울시 문화상, 월간음악상, 대원음악상 수상 천지윤 現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출강 음악그룹 비빙 단원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음악 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및 예술전문사 국립국악중‧고등학교 졸업 음반 백병동‧이건용의 해금과 기타를 위한 작품집 후조後彫 천지윤의 해금 : 관계항1 : 경기굿 논문 “지영희류 해금산조 변천 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박사학위 논문 “창부타령 해금독주선율 연구: 김영재의 연주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전문사학위 논문 수상 세종음악콩쿠르 일반부 해금부문 최우수상 난계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금상_ 문화관광부 장관상 목포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동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