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통사들, ‘싼 요금제’ 안 알려…220만 명 ‘바가지’
앵커 멘트 휴대전화 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그런데, 2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할인 혜택이 훨씬 적은 방법을 택해 왔습니다. 이익이 줄어들 것을 우려한 이동통신사들이 제대로 설명을 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라는데요. 이승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정부는 지난해 10월 휴대전화 구입때 보조금을 주는 대신 매월 전화비를 깍아주는 선택약정할인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휴대전화를 구입한 김덕준 씨는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습니다. 인터뷰 김덕준(서울 문래동) : "요금제는 뭐 쓰시면 될것 같고 얼마 기간 동안만 사용하시면 된다라고..." 한 이동통신사가 만든 내부 문건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20% 선택할인약정제를 적용하면 2년간 36만 4천 원의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지만 기존 보조금 제도로는 10만원선에 불과합니다. 결국 어떤 요금제,어떤 단말기를 선택해도 선택약정할인이 유리하다고 명시했습니다. 그런데도 이동통신사들은 이익이 줄 것을 우려해 이 제도를 제대로 알리지 않아왔습니다. 이때문에 기존 보조금제를 선택한 소비자 220여 만 명이 할인받지 못한 돈만 900억 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민병주(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 : "이통사가 소비자를 우롱하고 바가지를 씌운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이 부분에 대해서 더 관리를 철저히..."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달 초 설명 의무를 다하지 않은 LG U플러스에 21억 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등 관리에 나섰지만, 이미 기존 보조금제를 선택한 소비자들은 꼼짝없이 돈을 더 내야 하는 처지가 됐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