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곁에는 우리가 있다"...미국이 가장 강력한 친 이스라엘 정책을 펴는 이유](https://krtube.net/image/8-tMszGjY9M.webp)
"이스라엘 곁에는 우리가 있다"...미국이 가장 강력한 친 이스라엘 정책을 펴는 이유
지난 7일 하마스의 기습공격으로 이스라엘과 전 세계가 충격에 빠진 가운데,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즉각 하마스의 '끔찍한 테러 공격'이라며 강력히 규탄했고, 어떤 나라보다도 먼저 외교 수장인 앤서니 블링컨 국무장관을 이스라엘에 직접 보냄으로써 강력한 지지를 보여줬습니다 미국은 지난 수십 년간 세계 어떤 나라보다도 강력한 친 이스라엘 정책을 유지해 왔는데, 그 이유를 알아봤습니다 지난 7일 하마스의 기습공격으로 이스라엘과 전 세계가 충격에 빠진 가운데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은 즉각 하마스의 '끔찍한 테러 공격'이라며 강력히 규탄했다 또 어떤 나라보다도 먼저 외교 수장인 앤서니 블링컨 국무장관을 이스라엘에 직접 보냄으로써 이스라엘에 대한 강력한 미국의 지지를 보여줬다 이미 연간 38억 달러에 달하는 대 이스라엘 군사 원조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은 이번 사태가 발생한 후 제럴드 포드 항모 강습단을 지중해로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추가 군사자산을 투입할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수십 년간 세계 어떤 나라보다도 강력한 친 이스라엘 정책을 유지해 왔는데 그 이유는 뭘까? 중동 전문가들은 전략적 가치를 고려한 장기적인 중동정책과 미국의 여론, 선거 정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한다 미국이 처음부터 이스라엘과 친밀한 관계였던 것은 아니다 1956년 이스라엘이 프랑스, 영국과 함께 이집트를 침공했을 때 미국은 이집트를 지원했다 하지만 냉전 이후 미국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급격히 가까워졌는데 미국은 중동 지역에서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이스라엘을 반소 블록에 편입시키고 외교적, 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냉전 이후에도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은 계속됐다 중동의 안정은 세계 석유 시장을 비롯한 여러 이유로 계속해서 미국의 관심사였고 미국은 중동 분쟁을 관리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중동의 현상 유지에 만족하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지원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가치 있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그런 와중에도 미국은 자국의 전략적 이익에 부합하지 않을 때는 이스라엘과 대립했는데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이란에 대한 이스라엘의 공격을 지지하지 않았고 바락 오바마 대통령은 서안지구 정착촌 건설을 두고 이스라엘 지도자들과 반복적으로 충돌했다 미국 내 여론과 정치 상황도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로 작용한다 중동 지역에 대한 미국 유권자들의 인식 조사를 보면 팔레스타인보다 이스라엘에 공감하는 비율이 훨씬 높다 또한 미국에서 정치적으로 활발한 유대인과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은 압도적으로 친 이스라엘 성향이 강하다 이런 상황 속에 미국 의회에서 친 이스라엘 관련 법안이 종종 초당적인 지지를 받는 것은 자연스럽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국과 이스라엘 관계의 가장 큰 위협은 정착촌 건설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도 현재로서는 미국의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길 조짐은 없다고 지적한다 » VOA 한국어 유튜브 영상 더 보기: VOA는 미국 최대의 국제방송국으로 언론의 자유가 없거나 제한적인 지역을 포함한 매주 2억7천8백만 명의 시청자들을 위해 47개 언어로 라디오와 TV, 웹, 모바일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VOA 한국어 방송은 남북한은 물론 세계 여러 지역의 한민족을 대상으로, 세계 각국의 뉴스와 한반도 뉴스 및 다양한 특집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VOA 한국어 웹사이트: » VOA 한국어 페이스북: » VOA 한국어 인스타그램: » VOA 한국어 트위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