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실종문자 외면…20분만에 찾을 걸 나흘씩 수색 / KBS 2021.10.26.
[앵커] 어린이나 치매 노인, 지적장애인 등을 흔히 '실종 고위험군'이라고 부릅니다 이들이 실종되면 다른 실종 사건에 비해 범죄에 노출되거나 장기 미제 사건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경찰은 이런 상황에 대비해 올해 6월부터 '실종경보 문자시스템'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는데 정작 현장에선 외면받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김초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13일 강원도 강릉에서 50대 지적장애 여성이 실종됐다는 신고가 경찰에 접수됐습니다 경찰은 나흘 동안 수색을 벌였지만 실종자를 찾지 못하자 닷샛날 실종 여성의 신상을 담은 문자를 시민들에게 발송했습니다 그리고 불과 20여 분 만에 시민의 제보로 실종 여성을 찾았습니다 [실종 여성 가족/음성변조 : "가만히 있다가, 경찰이 내가 전화를 하니까, 그걸(문자 발송) 요청을 해달라고 얘기해요 "] 경찰이 '실종 경보문자 시스템'을 도입한 건 올해 6월 하지만,제도 시행 후 넉 달 동안 전국의 고위험군 실종 신고 14,000여 건 가운데 문자를 발송한 건 198건, 1 3%에 불과합니다 경찰은 단순 가출인지, 실종사건인지 판단하는 것부터 어려움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찬섭/강원경찰청 아동청소년계장 : "행적이나 그런 것을 충분히 확인한 다음에, 인적사항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만큼 요건 구비 등 철저한 검토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 실종사건으로 판단해 문자를 발송한다 해도 보호자의 서명부터 경찰청 본청의 판단까지 절차가 까다롭고, 시간이 걸리는 점도 문제입니다 전문가들은 실종사건 해결은 시간과의 싸움인 만큼 문자 발송시스템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이건수/백석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 "실종 장소를 많이 벗어날 수 있고, 미제사건으로 빠질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바로 지역주민에게 문자를 발송하고 "] 최근 3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고위험군 실종 신고는 12만 3천여 건 이 가운데 대부분은 발생 초기에 해결됐지만 70건은 장기실종 사건으로 남았습니다 KBS 뉴스 김초롱입니다 촬영기자:이장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