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도 온라인 수업 .. 수업권을 어떻게 - R (200717금/뉴스투데이)

2학기도 온라인 수업 .. 수업권을 어떻게 - R (200717금/뉴스투데이)

(앵커) 코로나19가 언제 종식될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대학들은 다음 학기에도 전면적인 대면수업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부실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원격 수업의 질을 학생들의 기대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게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됐습니다. 이재원 기잡니다. (기자) 코로나19로 사상 초유의 원격 수업이 실시됐던 대학가. 방학에 들어간 학부와 대학원생들에게 1학기 동안 진행됐던 실험적인 수업 방식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인터뷰)정민희/조선대학교 "오프라인이 아니라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다보니까 조금 수업의 질이 조금 떨어지는 것 같기도 하고..저희가 수업 이해도도 조금 떨어지는 것 같아서... (인터뷰) 김다희/전남대학교 대학원 "과제가 너무 터무니 없이 많아가지고 사실상 교수님들이 과제 제대로 확인도 안하고 많이 내주신다..." 2학기를 준비하고 있는 대학들의 고민도 여기에 있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전면적인 대면 수업이 불가능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2학기 수업을 대면과 원격 수업의 혼합 방식으로 방침을 정한 전남대는 여름 방학동안 동영상 강의 제작에 들어갔습니다. 이를 실시간 화상 수업 자료로 활용해 수업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섭니다. (인터뷰) 박복재 교무처장/전남대학교. "안정된 학사 운영 속에서 첨단 학습 기법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는 고등 교육 시스템도입을 강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대학들도 학습권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2학기 학사 운영 방침을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재난 지원금이나 등록금 할인등 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2학기 고지서가 발급되기 전에 학생 대표들과 협의를 마무리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인터뷰)김준연 의장/광주전남대학 총학생회 협의회 "1학기와 마찬가지로 교육권에 대한 손실.. 그리고 학사적 보상에 대해서 굉장히 고민이 많은 상황인데요..대학에 구체적인 방안을 요구할 계획입니다." 코로나 19로 한 학기 동안 사상 초유의 시행 착오를 겪었던 대학가.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여름 방학도 반납한 채 비지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MBC News 이재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