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개짓 쇠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호. 학명은 Asio flammeus flammeus (PONTOPPIDAN)이다. 전장은 38.5㎝이고, 머리꼭대기·뒷목·윗등은 갈색을 띤 황갈색이며 어두운 갈색의 굵은 축반(軸班)이 있다. 턱밑은 흰색 또는 연한 미색이고, 가슴은 황갈색으로 가는 축반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볼 수 있는 비교적 드문 겨울새로 산지의 풀밭, 개활지의 갈밭, 교목과 관목, 잡목 등의 가지에 앉는다. 저녁부터 활동하는 새이나 낮에도 활동하는 수가 있다. 4월 하순에서 5월 상순에 걸쳐 한배에 4∼8개의 알을 낳는다. 암컷이 포란을 전담하며 포란기간은 24∼28일이다. 주식물은 들쥐와 작은 들새 및 곤충류이다. 올빼미과 조류는 육식성조류로서 오늘날 생존에 가장 위협을 받고 있는 조류 중의 한 무리이다. 이들은 오염된 동물성 먹이를 취식하고 있기 때문에 번식력이 떨어지고 있으며, 서식환경이 파괴되어 생존집단이 날로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쇠부엉이를 포함한 7종의 새를 올빼미·부엉이류로 묶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쇠부엉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