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도 노인 500만 명 빈곤상태…해소 대책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30년 뒤도 노인 500만 명 빈곤상태…해소 대책은?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30년 뒤도 노인 500만 명 빈곤상태…해소 대책은? [앵커] 우리나라는 '선진국 클럽'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회원국이지만 부끄러운 지표 중 회원국내 최상위권인 것이 몇 개 있죠. 노인빈곤율도 그 중 하나인데요. 여러 정책적 노력에도 30년 뒤 역시 노인 4명 중 1명은 빈곤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배삼진 기자입니다. [기자] '빈곤'의 기준은 소득순위 한 가운데인 중위소득의 50% 이하입니다. 재작년 기준선은 1인당 월소득 132만원, 부부가 함께 사는 경우 163만원입니다. 여기에 해당하는 노인의 비중, 즉 노인빈곤율은 37.6%. 10년째 꾸준히 하락했지만, 여전히 OECD 평균 3배에 가깝습니다. 소득 증가와 정책적 노력으로 노인 빈곤율은 2075년 26.34%까지 낮아질 전망입니다. 하지만 노인 4명 중 1명은 여전히 빈곤상태인 겁니다. 65세 이상 인구는 내년 1,000만명을 넘은 뒤, 2050년엔 1,900만 명으로 불어납니다. 빈곤노인이 500만 명에 이르는 겁니다. 그런데 전문직, 사업 등 예외적 경우나 부동산 등 자산소득이 없다면 고령자들은 공적연금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지속 가능성이나 빈곤 해소책으론 한계가 뚜렷합니다. 기초연금을 지금처럼 65세 이상 70%에게 계속 지급할 경우, 작년 624만 명인 수령인구는 2050년 1,330만 명으로 불어나고 재정지출도 급증합니다. 국민연금도 30년 가입시 평균 수령액이 127만원에 그쳐 노인빈곤 해소를 위해선 두 제도 모두 개편과 보완이 불가피합니다. [오건호 /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위원장] "기초연금을 훨씬 더 두텁게 대상은 줄이면서 최저 보장 소득으로 전환해 가자. 소득 기준으로… 중간층 이상의 분들도 국민연금만으로는 부족하거든요. 퇴직연금을 연금으로 발전시켜놔서 두 연금을 합산해서" 특히. 국민연금 수급연령이 68세로 올라가면 최소 8년의 소득 공백이 생기는 만큼, 정년연장이나 노인일자리 확대 등 이를 메울 대책 역시 마련돼야 합니다.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email protected]) #노인빈곤 #국민연금 #기초연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