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412. 설렁탕. 한촌*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순우리말이라면 '한'은 '아주 큰~'이라는 뜻입니다. 선농단. 20201222 게시. 20201221_1827촬영. 02'16"

UT-412. 설렁탕. 한촌*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순우리말이라면 '한'은 '아주 큰~'이라는 뜻입니다. 선농단. 20201222 게시. 20201221_1827촬영. 02'16"

#설렁탕 유래 (유래설 2) *선농단 *설렁탕 *설농탕 #한촌 ~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명명 #命名 #name #naming #방문객대장 #방문객 대장 #臺帳 #대장 (근거가 되도록 어떤 사항을 기록한 원부나 장부) #방문객 명부 #방문객명부 #음식 #음식물 #음식점 #맛 #후기 #서민음식 집밥과 비교하는 것은 오히려 불공정합니다. #집밥 #불공정 #공정 #가격 대비 가성비 #價格 #가성비 #價性費 (가격 대비 성능의 비율) (비용 대 성능 비) (費用 對 性能 比) #영리회사 #營利會社 #경영 #經營 #요리사 #料理師 #칭찬합니다. ★*♥ #칭찬 #稱讚 *#요리하시는 모든 분들! #수고하세요. ♡* #수고 ! #호출벨 #벨 #종 #북 #쇠북 종 cf. Daum 사전 백과사전 ##1. ★ [설렁탕*의 유래] 1. #先農壇 #선농단 cf. #우리날1000가지 (왕 王의 친경 親耕 ~) 2. #雪濃湯 #설렁탕 cf.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설농탕 국물이 뽀얗고 맛이 농후하다 하여 ~) ##2. 동생을 만나서 저녁식사를 하러 음식점을 찾아가는 것은 즐겁습니다. 요리 料理에 관심이 있는 나는 요리하는 이들의 작품*인 음식* / 음식물*을 대하는 자세가 어릴 때와는 다릅니다. 오늘은 20201221 (지금은 20201222) 전에는 아웃도어 매장이었던 옷가게가 사라져버리고 자리한 음식점에 왔습니다. 간판이 아주 큽니다. (이렇게 간판이 큰 또다른 음식점이 생각납니다) ##2-2 맛은 내 입맛에 맞았습니다. 담백한 것이 끝날 때까지 좋았습니다. 아프신 분들과 병원에 입원하신 분들에게도 좋을 겁니다. 맵고 짠 음식을 먹으면 안되는 분들과 어린 아이들 입맛에도 맞을 것 같네요. 하지만 김치가 맛있고 통째로 나온 점까지는 좋기는 한데 식사시간이 더 걸리게 되어서 천천히 먹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개인적으로는 촬영하느라고 시간이 너무 흘러가서 김이 펄펄(?) 날 정도로 뜨거웠어도 뚝배기에 담았어도 설렁탕은 내가 먹을 때에는 마지막 국물이 미지근해져버렸습니다. (내 잘못이니 ...) 다음에 다시 와서는 오롯이 맛*에만 집중하고 싶습니다. ##3. 이런 국물 요리는 김치의 맛이 크게 좌우합니다. 숙성 - 김치를 익힌 정도*도 내 입맛에 딱 ★ 좋습니다. 가위*로 [깍두기와 배추김치]를 자르고 먹습니다. ##4. [고기] 호주산 굉장히 얇게 썰었는데 국물 맛으로 액기스*는 다 삐져나갔는지 별다른 맛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집에서 두툼하게 썰어서 끓여주신 어머님의 손맛을 따라오지 못합니다. 당연히 [서민음식]*이라는 음식의 값은 적정할 것입니다. ('가격의 철학'이라고 하던데 아직 읽지 않았습니다. 시간여유가 있을 때 읽으려고 했고 음식점 오너 / owner/ / 사장님의 마음은 짐작 할 수 있습니다. 읽고 확인해야 하지만요.) 영리회사 營利會社*와 마찬가지인 음식점 운영 運營은 경영 經營*이 무척 어려울 겁니다. 코로나19시대에 오지 않는 손님과 줄어드는 매출 賣出로 걱정하고 있을 것이 뻔합니다. 이해타산*과는 상관없이 자식들에게 맛있게 먹이려고 끓이신 집밥*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비교하는 것이 오히려 不公正하게 되겠습니다. 그러니 아주 훌륭하게 내 입맛에 맞는 국물 맛을 내신 요리사 料理師*를 칭찬합니다. ★*♥ ##5. [벨] 호출벨*이 없는 음식점이 많은데요. 호출종 종 #鐘 쇠북 종.. 아주 먼 먼 옛닐에는 "북"이었을까요? 북*은 가죽으로 만들고 종*은 철기시대 아후의 산물일테니까 ... 한자에 '쇠북 종' 이 있는 것을 보면 '부수' 部首는 '쇠 금 金'을 쓰거든요. 그러니 전에는 쇠로 된 물건이 아니었을 거라으는 것을 유추합니다. **재미있네요. ex) "종소리 울려라~ 종소리 울려~ " ♬ 캐롤 어쩌면 호출벨이 없는 음식점보다 고급 高級의 이미지가 있겠습니다. ##6. [한강] [한밭 = 대전 大田] "한~" "한강"은 순우리말이라고 배웠습니다. "한밭"은 순한글*인 지명 地名인데 .일제시대 때 저들의 편의상 (언어 특성상) 뜻을 살려서 '한자어 표기'인 "大田 대전"이라고 했답니다. 우리 민족의 '얼'인 [말과 글]을 말살하려고 했으니까요. 침략자들 ! 못된 사람들! 우리 선조는 우리를 지키기 위해 피땀을 흘리셨다! 그분들의 후손인 우리들도 先祖 조상님께 부끄럽지 않게 "우리도 우리를 지킵시다!" 20201222.2 1345 upload +# ##6 추가 20201223.3 0233 10° 20201223.3 b0803 ROK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 아산 ROK Asan 2020 &* .어~ 한촌 += 마을 촌 村 한자네요. 섞였나요? 아닌가요? 다음에 가면 물어 봐야겠습니다. @* 인터넷에서 여기를 알리는 광고성 화면을 보았습니다. 개인 기업이 아니네요.. 2020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