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mn] 찬송가 6장 목소리 높여서 / Now to the King of heaven _ Organ Full Ver.

[Hymn] 찬송가 6장 목소리 높여서 / Now to the King of heaven _ Organ Full Ver.

#organ #hymns #music #찬양 #ccm * 가정예배, 새벽예배, 선교지에서의 예배 등 자유롭게 활용하시면 됩니다 * 인터넷 재생 환경이 여의치 않을경우 메일로 연락주세요 (E-Mail) composer eunchongjang@gmail com [ 목소리 높여서 / Now to the King of heaven ] 1 주제성구 (시편 89:5) 여호와여 주의 기이한 일을 하늘이 찬양할 것이요 주의 성실도 거룩한 자들의 모임 가운데에서 찬양하리이다 (Psalms 89:5) The heavens praise your wonders, O LORD, your faithfulness too, in the assembly of the holy ones 2 작사가 아이작 왓츠(Isaac Watts, 1674~1748), 필립 도드리지(Philip Doddridge, 1702~1751) 왓츠는 1674년 영국태생으로 목사이자 ‘영국 찬송가의 개척자’로 불린다 그는 당시 교회가 시편을 기계적으로 중얼거리는 것에 큰 회의를 갖고 있었다 하여 시편을 새로운 의미로 재해석했고 회중이 창작한 가사로도 하나님을 찬양하도록 했다 이러한 시도는 신자들로부터 대단한 호응을 얻었고 그가 펴낸 ‘심령의 평온을 위한 찬송가(Hymns of Human Composure)’는 곧 전국에 퍼졌다 이후 1715년에 최초의 어린이 찬송가집인 ‘거룩한 노래(Divine Songs)’를 펴내기도 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특히 ‘교육 입문서(A Manuel for Education)’와 ‘윤리학 개론(Guide of Ethics)’은 여러 세기 동안 영국의 여러 대학과 미국의 하버드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었다 도드리지는 1702년 영국태생의 목사이다 그는 약 400편에 달하는 찬송시를 썼는데, 여기에는 왓츠 목사의 영향도 컸다 그는 왓츠가 그랬던 것처럼 설교 후에 끝맺는 말로 시를 낭송했는데 이 찬송시 ‘목소리 높여서’도 그 중 하나였다 그의 찬송시들은 사후에 친구인 오르턴(Job Orton)이 수집해 책으로 만들었으며 1839년 도드리지의 손자가 이를 다시 출판하였다 3 작곡가 미상(The Parish Choir, 1851), 윌리엄 하버갈(William H Havergal, 1793~1870) 추정 이 찬송가의 곡조(ST JOHN)는 1851년 영국에서 출판된 성가곡집인 ‘The Parish Choir’(Vol III)에 처음 수록되었다 하버갈은 1793년 영국 태생의 목사이다 그가 교구목사로 일하던 중 마차사고로 한동안 목회를 쉬는 시기가 있었는데 쉬는 동안 교회음악 연구에 집중하였다 이때 발간된 것이 ‘라벤스크로프의 시편가(Ravenscroff’s Psalter)(1845)’, ‘고전 교회 성가(Old Church Psalmody)(1847)’이다 * 참고문헌 '21세기 찬송가 해설집' 26-28p, 문영탁・나진규 저, 출판사 가온음, 2012 ** Hymn Writers of the Church by Charles S Nutter 4 편성 안내 1) 피아노 + 오르간 버전 (Piano + Organ Ver ) 사친 출처 2) 오르간 라이트버전 (Organ Lite Ver ) 사진 출처 3) 오르간 풀버전 (Organ Full Ver ) 사진 출처 5 사용한 악기 및 프로그램 목록 1) Piano : Yamaha P-115 G Piano (내장음원) 2) Organ Lite Ver : Logic Pro 11 0 1 - Romantic Organ 3) Organ Full Ver : Logic Pro 11 0 1 - Cathedral Organ + Wedding Organ + Bass Organ Mix 4) 썸네일 및 가사 : Microsoft Power Point 5) 음악/영상 프로그램 : Logic Pro 11 0 1 Final Cut Pro 10 8 1 * 이 찬송가 MR은 반주자가 없는 예배를 돕기 위한 비영리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수익이 창출될 경우 원저작자에게 귀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