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제로 프로젝트 - [ 트렌드 코리아 2020, 김난도 등, 미래의창 ]](https://krtube.net/image/Bjooa9aRu_U.webp)
구독자 제로 프로젝트 - [ 트렌드 코리아 2020, 김난도 등, 미래의창 ]
편집장의 선택 "12간지의 완성, 그리고 새로운 시작" 2008년 겨울, 트렌드 코리아 2009라는 신간을 소개하면서 "세리 전망과 같이 매년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라는 말로 새로운 시리즈의 탄생을 기원했던 일이 생각난다 금융 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했던 당시는 삼성경제연구소가 펴낸 세리(SERI) 전망의 시대였다 그 경제 전망서의 홍수 속에서 '트렌드 코리아'는 소비 트렌드 전망서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다 그리고 해를 거듭하며 이제는 경제경영 분야의 가장 큰 '연례 행사'가 되었다 2019년 가을, 트렌드 코리아 2020을 보며 그렇게 잠시 감회에 젖는다 그러나 지금 12년이라는 긴 세월을 추억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지난 1년을 회고하고 다가올 1년을 준비하기에도 벅찬 시간 아닌가 대표 저자인 김난도 교수가 "1년에 책을 두 번 내야 할 정도"라 말할 만큼 트렌드 변화의 속도가 빠르니, 바쁜 독자들은 유행을 따라가기조차 힘든 실정이다 결국 이 한 권의 책은 놓칠 수밖에 없었던 동향들을 완벽하게 정리한 '커닝 페이퍼'가 된다 해당 연도의 지지(地支)로 10음절의 트렌드 키워드를 선보이는 전통도 책이 없던 시절까지 합치면 열네 번째를 맞는다 특히 이번 트렌드 코리아 2020은 책으로 12간지를 한 바퀴 돌았다는 각별함이 있다 이를 축하하며, 그 해가 경자년 쥐띠 해라는 것에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싶다 쥐는 12간지의 첫 번째 동물 아니던가 이 시리즈가 혁신과 진화를 통해 다시 새로운 1회전에 성공하기를 기대해 본다 트렌드 코리아의 제2막이 힘차게 올라간다 - 경영 MD 홍성원 (2019 10 25) 책소개김난도 교수는 2020년의 소비트렌드의 가장 중요한 세 축으로 ‘세분화’, ‘양면성’, 그리고 ‘성장’을 꼽았다 갈수록 어려워지는 시장 상황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면 무엇보다 고객을 잘게 나누어 그 속에 숨겨진 욕망들을 발견해야 한다 매 순간 다른 사람으로 변신하는 ‘멀티 페르소나’ 소비자들의 선호를 따라잡기 위해 ‘특화’는 생존의 조건으로 거듭났다 고객과의 마지막 접점에서의 만족을 의미하는 ‘라스트핏’이 중요해짐에 따라 구매 결정 기준이 세밀화되고, 하나의 물건을 오래 소유하기보다 다양한 경험을 그때그때 즐기고자 하는 성향이 강조되면서 ‘스트리밍’이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런 세분화가 가능해진 것은 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초개인화 기술’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나의 경험과 취향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성향은 더욱 보편화될 전망이다 ‘시간 빈곤’에 시달리는 밀레니얼 세대의 소구에 맞춰 편리성이 프리미엄이 되는 ‘편리미엄’이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더불어 성공보다 성장을 추구하는 새로운 자기계발형 인간, ‘업글인간’의 등장은 행복의 무게 추가 재미와 의미 사이의 균형을 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순히 팬덤에 속하는 것을 넘어 능동적으로 소비하는 ‘팬슈머’와 신중년층이라는 이름으로 부상한 ‘오팔세대’의 행보 역시 눈여겨보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상의 모든 영역에서 공정성을 추구하고 기업의 ‘선한 영향력’을 구매의 기준으로 삼는 공정 세대, ‘페어 플레이어’들이 가져올 소비의 변화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목차 5 서문 18 2020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 20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19년 대한민국 10대 트렌드 상품 1 2019년 소비트렌드 회고 51 Play the Concept 컨셉을 연출하라 63 Invite to the ‘Cell Market’ 세포마켓 77 Going New-tro 요즘옛날, 뉴트로 89 Green Survival 필환경시대 103 You Are My Proxy Emotion 감정대리인, 내 마음을 부탁해 115 Data Intelligence 데이터 인텔리전스 129 Rebirth of Space 공간의 재탄생, 카멜레존 141 Emerging ‘Millennial Family’ 밀레니얼 가족 155 As Being Myself 그곳만이 내 세상, 나나랜드 165 Manners Maketh the Consumer 매너 소비자 2 2020년 소비트렌드 전망 178 2020년의 전반적 전망 193 Me and Myselves 멀티 페르소나 219 Immediate Satisfaction: the ‘Last Fit Economy’ 라스트핏 이코노미 243 Goodness and Fairness 페어 플레이어 267 Here and Now: the ‘Streaming Life’ 스트리밍 라이프 291 Technology of Hyper-personalization 초개인화 기술 315 You’re with Us, ‘Fansumer’ 팬슈머 337 Make or Break, Specialize or Die 특화생존 359 Iridescent OPAL: the New 5060 Generation 오팔세대 383 Convenience as a Premium 편리미엄 405 Elevate Yourself 업글인간 430 미주 442 부록 추천글 이 책을 추천한 다른 분들 : 문화일보 - 문화일보 2019년 10월 24일자 매일경제 - 매일경제 2019년 10월 24일자 국민일보 - 국민일보 2019년 10월 24일자 서울신문 - 서울신문 2019년 10월 25일자 저자 및 역자소개 김난도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교수, 트렌드 연구자, 컨설턴트, 작가, 유튜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유튜브 채널 ‘트렌드코리아TV’를 진행하고 있다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를 2008년부터, 그 영문판인 〈Consumer Trend Insights〉 시리즈를 2020년부터 매년 출간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Vol 1』, 『더현대 서울 인사이트』, 『마켓컬리 인사이트』, 『트렌드 로드: 뉴욕 임파서블』, 『트렌드 차이나』, 『럭셔리 코리아』, 『디자인의 시대, 트렌드의 시대』(공저), 『2011 대한민국 소비지도: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공저), 『2013 Consumer Trends in Korea』 등의 책을 썼다 KBS 1TV 명견만리, tvN 김난도의 트렌드 로드, KBS 해피FM 〈김난도의 트렌드 플러스〉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온라인 공개 강좌 K-MOOC에서 〈소비자와 시장〉이라는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Rando Kim is a professor in the Dept of Consumer Science (DCS),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As a specialist in consumer behavior and market trend analysis, he has written more than 20 books including Trend Korea series, Dining Business Trend series, Market Kurly Insight, The Hyundai Seoul Insight, Trend China, What Consumers Want, and Luxury Korea He also wrote essay books, Amor Fati, Future and My Job, and Youth, It’s Painful which is sold three million copies in 17 countries He has conducted research projects about consumer needs finding, new product planning, and market trend probing for Korea’s major companies like Samsung, LG, SK, CJ, Hyundai Motors, GS, LH, Amore Pacific, Lotte, Fursys, Nongshim, and Coway 최근작 : 2024 Consumer Trend Insights,트렌드 코리아 2024,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Vol 1 … 총 89종 (모두보기) SNS : 전미영 (지은이) 저자파일 신간알리미 신청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 연구위원 서울대 소비자학 학사·석사·박사 2009년부터〈트렌드 코리아〉 시리즈 공저자로 활동하고 있다 소비자행복과 소비자심리 분야에 관심이 많고, 서울대에서 소비자조사법과 신상품개발론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리서치애널리스트와 서울대 소비자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동아일보 ‘트렌드 NOW’ 고정 칼럼니스트, 롯데쇼핑 ESG위원회 위원장, LG U+ MZ세대 자문위원, 하나은행 경영자문위원, 서울시·국토교통부·통계청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소비자학회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으며, 『트렌드 차이나』, 『대한민국 외식업 트렌드 Vol 1』, 『나를 돌파하는 힘』을 공저했다 다수 기업과 트렌드 기반 신제품개발 및 미래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