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이 매 파월이, 드디어 정신 차렸구나!" | 예상보다 세게 나오는 연준, 하지만 시장은 '오히려 좋아' 미증시 급등! | 러시아-우크라이나 휴전 가능성까지..?
#미국증시 #미국주식 #미국시황 #투자전략 #연준 #FOMC #금리인상 #대차대조표 #인플레 #우크라이나 #러시아 #국제유가 #WTI #연합인포맥스 #뉴요기요 #임하람 ▲ 드디어 금리 인상 ! 3대 지수 급등 마감 연준 정책 발표 후 V 자 그리며 급반등 마감 국채금리 10년물 2 2% 터치 달러화 강세 ▲FOMC 내용 2018년 이후 첫 금리인상 파월 연준의장 “목표 금리의 계속되는 인상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준 점도표 공개 연준, 올해 말 기준 금리 목표치 1 9% 예상 내년 말에는 2 8%, 2024년 2 8% 유지 (지난 12월에는 올해 0 9%, 내년 1 6% 전망) 올해 7회 25bp씩 금리 인상하고, 내년 최소 3회 인상한다는 의미 이번 25bp 금리 인상 결정은 찬성 8명, 반대 1명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50bp 인상 주장하며 반대표 ▲통화정책방향문 코로나19에 대한 부문 대거 삭제 2018년 이후 첫 금리 인상에 대한 근거 간단 언급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언급 "전반적인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 삭제 대차대조표 축소와 관련, "국채와 기관채, MBS 보유량이 다가올 회의에서 줄어들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 ▲파월 연준의장 주요 코멘트 “통화정책 정상 수준으로 복귀, 금융여건 정상화 돼야" "경제, 더이상 비상 통화정책 설정을 필요하지 않아" “경제 매우 강해…연준, 고용·물가 목표 달성 전념" “연준, 5월부터 대차대조표 축소 가능" "대차대조표 축소, 추가 금리인상과 비슷한 효과낼 수도" "경기침체 위험, 특별히 높아지지 않았다" "연준, 필요하면 금리인상 더 빨리 할 것" ▲경제 전망 연준, 올해 PCE 가격지수 기준 인플레 4 3% 내년 2 7%로 하락 예상 GDP 성장률 전망치 올해 2 8%, 내년 2 2% 예상 올해 전망치 기존 4%에서 하향 조정 ▲FOMC 평가- 멘트 데이비즈 켈리 / JP모건 “상당히 공격적인 움직임이다 ” “연준이 조금의 유연성은 가져갔으면 좋겠다 장기적으로 실질 금리를 정상화 시켜야 하지만, 현재 불확실성이 많고 초저금리의 혜택으로 만들어진 자산들이 많다 따라서 금리 인상을 너무 쉽게만 생각해서는 안된다” 마이크 로웬가트 / 이트레이드 “인플레 예상치가 (높은 상황이) 연준의 맘을 급하게 만든 포인트다” “연준은 공격적인 긴축이 필요하고, 금리 인상 뿐 아니라 대차대조표 축소라는 추가 조치가 따라 올 것이다” ‘시장은 연준의 매파적 태도에 적응해야할 것” ▲ 금리인상에도 주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통계 ? 샘 스토발 / CFRA S&P500지수, 1946년 이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시작된 후 6개월 동안 평균 1 3% 상승, 금리 인하 때는 6개월 동안 평균 5 5% 상승 금리 인상 사이클 때도 주식시장 상승 했지만 완화적인 정책을 취할 때보다 상승폭 적어 전문가들, “이번 금리 인상 사이클은 과거와 다를 수 있다” ▲ 러시아 디폴트 맞나 ? 운명의 날 서울시간 17일 오후1시 디폴트 나올 가능성 러시아, 1998년 이후 첫 디폴트 임박…"미국에 달렸다” 러시아 재무장관 "외화에 대한 채무 이행 여부는 우리에게 달려 있지 않다" "우리는 돈을 갖고 있고, 우리는 돈을 지불했다 이제 공은 미국 당국에 있다" 러시아가 채무 갚았다고 했지만, 해당 결제가 이행됐는지는 불명확 러시아, “서방 제재로 국채 이자를 루블화로 낼 것”이라 밝힌바 있어 러시아 이날까지 2건의 달러화 표시 국채에 대해 1억1천700만 달러(약 1천450억 원)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할 경우 러시아는 볼셰비키 혁명 직후인 1918년 이후 첫 외화 디폴트에 직면 1998년 루블화 국채 디폴트 이후 첫 디폴트 30일간의 유예기간 있어 공식적 디폴트 선언은 4월 15일 이후 러시아 재무장관 "러시아 연방은 외화 계정에 필요한 돈이 있으며, 루블화로도 결제가 가능하다" 달러채 이자, 달러화로 결제 거부될 경우 루블화로 이를 결제하려고 할 듯 해당 채권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한 투자자는 WSJ에 이날 오전 현재 이자를 받지 못했다고 러시아 외환보유액, 전쟁 직전 6천300억 달러 이상 외화 부채를 갚을 정도로 충분한 자금은 갖고 있지만 제재로 상당부분 동결된 상태 ▲유가 하락세 이어져 WTI -1 5%, 배럴당 95 04달러 3거래일 연속 하락 2월 25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휴전 합의 기대, 유가 하락세 러시아 외무부 장관 “우크라이나 중립국화, 진지하게 논의 중” “일부 조항은 합의에 근접” 양측 협상 대표단, 15개항으로 구성된 평화안 준비 중이라고 원유재고 증가, 유가 하락 요인 ▲종목 번스타인, 마이크론 투자의견 ‘매수’로 상향 SK하이닉스, 삼성전자 투자등급도 ‘매수’로 상향 “메모리 업계의 조정, 장기화하지 않을 것” 모건스탠리, 월마트 투자의견 '비중 확대' 크레디트스위스, 나이키 투자의견 ‘매수’ 유지 JP모건, 스타벅스 투자의견 '비중 확대'로 상향 알파벳, 페이팔, 우버 등 기술주 긍정적 투자의견 ▲지표 2월 소매판매, 전월비 +0 3% 전년비 +17 6% 전문가 예상치 전월비 +0 4%에 못미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