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러방지법 논의 물꼬…국정원 '난관'
테러방지법 논의 물꼬…국정원 '난관' [앵커] 14년째 국회에서 낮잠을 자던 '테러방지법' 입법 논의에, 여야가 본격적으로 나섰는데요. 프랑스 파리 테러가 우리 사회에 끼친 충격이 그만큼 크다는 얘기겠죠. 그렇지만 각론에선 의견차가 적지 않습니다. 이준서 기자입니다. [기자] 2001년 9·11사태 이후로 줄곧 논란이 됐던 테러방지법, '파리 테러' 충격으로 14년 만에 가까스로 테이블에 올랐습니다. 우리도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문제 인식엔 여야가 공감한 겁니다. [이철우 / 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 "현재 아무리 위험한 인물이 국내에 있어도 조치할 수 없다. 그래서 테러방지법을 만들어야 하는데… 오늘 법을 만드는 데에는 여야가 공감했습니다." 난관은 국가정보원입니다. 여당은 '대테러 컨트롤타워' 기능을 국정원에 부여하자는 입장이지만, 야권은 국정원에 대해 의심의 눈길을 거두지 않고 있습니다. 대선개입 의혹을 비롯해 정치편향 논란의 트라우마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국정원의 권한을 강화하느냐는 겁니다. 처음으로 머리를 맞댄 국회 상임위 논의에서는 여야의 입장차는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신경민 / 국회 정보위원회 야당 간사] "댓글사건 이후 모든 여러 가지 사건에서 국정원이 과연 달라졌다고 볼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동의하기가 어렵고요." 테러에 대한 불안 여론 속에 여야가 어렵사리 테러방지법 논의에 나섰지만, 실제 입법까진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이준서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email protected]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