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력 4월 조심해야 하는 사람의 띠와 나이 2022년 임인년 - 부천 부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연화암 이보 #Shorts
#2022년_임인년 #양력_4월 #조심해야_하는_사람의 #띠와_나이 #용한무당추천 #부산점집 #부천점집 #근처점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재수굿 #신내림굿 #연화암 #이보 #Shorts 연화암 이보 [상담전화] 010 8777 9782 [상담장소] 부산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993 시청역 롯데골드로즈 1720호 연화암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관재구설(官災口舌)은 관재와 구설을 아우르는 말입니다 먼저 관재는 관재수라고도 하며, 관청으로부터 받는 재앙을 뜻합니다 과거에는 관아로부터 오는 폭력과 착취가 관재에 해당하였습니다 하지만 현대적 의미의 관재는 경범죄에서부터 중범죄에 이르기까지 법과 질서를 위반하여 법망에 걸리는 일을 뜻합니다 갑작스런 세금의 납부, 음주 운전 단속 등이 있습니다 또는 타인에 의해 고소 고발을 당하여 법적 시비와 송사에 걸리는 일이 관재에 속합니다 다음으로 구설은 남의 입에 오르내려 스트레스를 받는 일을 뜻합니다 구설은 흔히 구설수라고 하는데, 구설을 당하는 것을 "구설을 듣는다" "구설을 산다 " "구설수에 오른다"고 표현합니다 구설은 혀 혹은 펜을 잘못 놀려 논쟁에 휘말리거나 욕을 먹게 되는 일을 뜻하는데, 현대에는 각종 SNS(카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튜브, 네이버 밴드 등)를 통한 시비와 불화가 구설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합니다 (1) 관성이 지나치게 커지는 상황 나(일간)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코드인 관성이 운을 만나 지나치게 커지면서 내(일간)가 갑자기 쇠약해 질 때 관재구설이 발생합니다 관성은 일간을 극합니다 일간을 관성에 의해 적절하게 제어당하고 극을 당할 때, 안정적이고 평온하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관성이 없다면, 자신의 재주를 믿고 일을 벌이지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마찰을 빚고, 특히 조직생활에 적응이 어렵습니다 반면 관성이 과하다면, 늘 주눅이 들어있고, 순응적인 삶을 살아 욕구불만에 차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강한 세력에 지나치게 억눌려 있기 때문입니다 관성과 일간은 늘 적절한 긴장 상태에 있을 때, 우리는 안정적으로 조직에 적응하고, 개인의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운이나 세운, 월운의 흐름이 관성을 지나치게 강하게 만드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관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관성이 지나치게 왕성하여 일간을 짓누를 때, 일간이 더이상 버틸 수 없는 상황이 되면 관재구설이 발생하게 됩니다 나를 제어하는 관(官)에 의해 완전히 제압당하는 것입니다 (2) 식상이 지나치게 세져서 관성을 위협할 때 관성을 관리하는 코드인 식상이 운을 만나 지나치게 커지면서 관성이 갑자기 쇠약해 질 때 관재구설이 발생합니다 반대의 경우도 있습니다 관성은 일간(나)을 극하지만, 식상은 관성을 극합니다 목(木)을 일간으로 보았을 때, 목을 극하는 것은 금(金, 관성)입니다 또 금을 극하는 것은 화(火)인데, 목 입장에서 화는 식상에 속합니다 금(관성)이 목(나)을 극하고 화(식상)가 금(관성)을 극하고 목(나)이 화(식상)를 살리는 것입니다 위에서 관성과 일간은 늘 적절한 긴장 상태에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식상이 강해서 관성을 지나치게 억제하다보면 일간과 관성의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관성이 지나치게 강해도 관재구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지만, 있던 관성이 갑자기 없어지게 되면 일간(나)는 갑자기 대책없이 많은 자유를 누리게 됩니다 한창 공부해야 할 고3 학생에게 일주일간의 휴가를 주고, 마음껏 쓸 돈까지 준다고 생각해 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준비없는 자유는 이 학생을 행복하게 만들지 못합니다 오히려 일주일간의 휴가가 이 학생의 공부 패턴을 망가뜨릴 확률이 높습니다 운에 의해서 식상이 갑자기 강한 힘을 얻게 되면, 나를 제어할 관성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나를 제어하고 있던 올가미가 풀려버려 경거망동하게 되고 각종 사건에 연루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식상(말, 행동, 자기표현)에 의해 발생하는 관재구설의 원인은 운의 흐름에 의해 법과 도덕, 공동체의 질서를 우습게 여기고 말과 행동을 함부러 하는 것입니다 (3) 식상이 지나치게 세져서 일간(나)의 힘을 뺄 때 나(일간)로 인해서 힘을 받는 식상이 운을 만나 지나치게 커지면서 강해진 식상이 나(일간)을 흔들어 댈 때 관재구설이 발생합니다 위에서 언급하였다시피 운에 의해 식상이 지나치게 세지게 되면, 관성을 극해서 관재구설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세진 식상은 나를 공격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식상은 나(일간)에 의해 힘을 받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살펴보면, 식상 입장에서는 나(일간)에게 힘을 받지만, 내 입장에서는 식상에 의해 힘을 빼앗깁니다 식상은 기본적으로 활동력을 의미하는데, 활동을 하게 되면 스트레스도 풀리고 생산력도 높아지지만 어쩔 수 없이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어 있는 이치입니다 결국 운에 의해 강해진 식상은 내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나를 흔들어 댑니다 나의 에너지를 빼가고 내가 가 똑바로 설 수 없도록 만듭니다 내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일을 벌이고 말을 많이 할 때, 지치고 힘이 빠져 결국은 관재구설이라는 홍역을 치르게 되는 것입니다 3 관재구설의 시사점 관재구설이 시사하는 바는 식상과 관성이 항상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식상은 개인의 언어, 재주, 활동력과 표현력을 의미합니다 즉 개인의 독특한 개성을 의미합니다 관성은 개인을 제어하는 권력, 조직, 집단, 규율, 공동체의 질서를 의미합니다 즉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의미합니다 관재구설은 관성이 지나치게 과다하거나, 관성이 지나치게 약할때, 식상이 강할 때 발생합니다 즉, 나, 식상, 관성이라는 삼각형의 조합이 형성하는 조화가 깨어질 때 망신을 당하는 것이 관재구설입니다 식상이 의미하는 독특한 자기만의 개성(표현력)이 강해서도 안되며, 관성이 의미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 강해서도 탈이 납니다 나와 집단, 개인과 사회가 조화를 이룰 때 관재구설 없는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구설수(口舌數) 다른 사람의 입에 오르내려 어려움을 겪게 될 운수 사회적으로 용납되기 어렵거나 문제가 될 수 있는 발언이나 행동을 할 경우 겪을 확률이 높아진다 구설에 오르는 일이 많아지면 원만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사회적으로 지탄받게 된다 또한 발언 내용이 모욕죄 등 법 위반에 해당될 경우에는 법적 처벌을 받게 된다 현대에는 스마트폰과 SNS의 발달로 말 한 번만 잘못해도 곧바로 빠르게 소문이 퍼져 구설에 오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구설수를 피하려면 언제 어디서나 말조심을 하고 신중히 생각해서 말하자 포항제철(포스코)에서는 이런 구설수로 인해 사내 단결이 깨지는 걸 막고자, 신입 사원 연수 때마다 '말 전달하기' 게임을 실시한다고 한다 같은 말이라도 여러 사람의 입을 거치면 어떻게 변하는지 직접 겪어보는 시간을 갖는 것 구설수를 고의적으로 일으켜 상품의 인지도를 높이는 마케팅 기법을 노이즈 마케팅이라고 한다 탈:뜻밖에 일어난 변고나 사고와 그에 따른 어떤 좋지 않은 결과를 가리키는 민간용어 예정한 노정을 탈없이 마쳤다거나 아무 탈없이 잘 지냈다는 것은 전자의 예이고, 속담에 일이 크게 벌어진 것을 두고 ‘탈이 자배기만큼 났다 ’ 하는 것은 후자의 보기가 된다 탈은 그밖에 병(病)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먹은 음식으로 말미암아 체하거나 설사 나거나 하는 뱃속 병의 총칭으로 사용하는 배탈이란 용어에 잘 드러난다 뜻밖에 발생하고 원인을 알 수 없는 어떤 좋지 않은 결과를 두고 표현하던 탈이란 개념은 점차 민간 신앙에 수용되어 처벌과 관련된 막연한 영적 존재로 발전한다 그런 막연한 민간신앙적 개념 가운데 임신 중이나 아이를 놓다가 죽은 여인들의 탈이 무(巫)에서 하탈(下頉)이라는 한 종류의 잡귀잡신(雜鬼雜神)으로 확정된다 탈은 그러므로 한국인의 어떤 부정적인 관념이 하위신령으로까지 발전해 가는, 민간종교의 중요한 개념이다 탈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 문헌적 출처도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조선 후기의 학자 정동유(鄭東愈)가 지은 『주영편 晝永編』에 탈에 관하여 언급한 것이 있다 그는 우리 나라에는 자전(字典)에도 없는 글자가 많다 하고, 그 가운데 속명(俗名)과 뒤섞인 글자[雜字]의 한 예로 ‘칭탈(稱頉)’을 들었다 사람들이 흔히 일을 사고(事故)라고 칭탁(稱託)하여 모면하는 것을 ‘칭탈’로 쓴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쓰는 탈의 한자인 ‘頉’이 우리 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임을 알 수 있다 민속신앙·생활·문학작품·속담 등은 탈의 종류와 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속담에는 ‘죽는 놈이 탈 없으랴 ’하여 어떤 재앙이라도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계집과 숯불은 쑤석거리면 탈난다 ’는 여자가 남자의 유인에 잘 넘어감을 뜻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모두 어떤 좋지 않은 결과나 그 원인으로서의 탈을 표현하고 있다 생활 가운데서 탈은 여러 종류와 내용으로 사용된다 앙탈·속탈·뒤탈·배탈·까탈 또는 가탈 등이 그러한데, 앙탈은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핑계를 대어 피하거나 남의 말을 안 듣고 불평을 늘어놓거나 생떼를 쓰는 것이다 ‘앙탈을 부린다’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속탈은 먹은 것이 잘 삭지 않아 생기는 병으로 배탈과 유사한 뜻을 가진다 뒤탈은 어떤 일에 대하여 뒷날의 걱정이나 근심, 또는 뒤에 생기는 탈을 말한다 ‘모든 일을 뒤탈 없이 잘 처리하자 ’는 용례는 일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