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문재, 「노독」
이문재, 「노독」 어두워지자 길이 그만 내려서라 한다 길 끝에서 등불을 찾는 마음의 끝 길을 닮아 물 앞에서 문 뒤에서 멈칫거린다 나의 사방은 얼마나 어둡길래 등불 이리 환한가 내 그림자 이토록 낯선가 등불이 어둠의 그늘로 보이고 내가 어둠의 유일한 빈틈일 때 내 몸의 끝에서 떨어지는 파란 독 한 사발 몸 속으로 들어온 길이 불의 심지를 한 칸 올리며 말한다 함부로 길을 나서 길 너머를 그리워한 죄 시_ 이문재 - 이문재는 1959년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1982년 『시운동』 4집에 시를 발표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내 젖은 구두 벗어 해에게 보여줄 때』 『산책시편』 등이 있다 낭송_ 홍서준 - 배우 뮤지컬 '우리 동네', '위대한 캐츠비' 등에 출연 배달하며 오래 전 읽은 시인데, 다시 읽어도 가슴이 아릿해집니다 여수(旅愁)의 멜랑콜리가 날카롭게 가슴을 베기 때문이겠죠 길 위에 있는 자는 어두운 세상에서 스스로 제 삶을 밝히는 등불이 되어야 하지요 더러는 몸속으로 들어온 길이 “불의 심지”를 한 칸 더 올리기도 하겠죠 하지만 “함부로 길을 나서/길 너머를 그리워한 죄”에는 감형(減刑)이 없습니다 길은 길로 이어지는 것이어서 여독(旅毒) 품고, 다시 길을 나서야 하니까요! 문학집배원 장석주 출전_ 『마음의 오지』(문학동네) 음악_ 최창국 애니메이션_ 박지영 프로듀서_ 김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