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령풀 (Little-beak gymnospermium)
떠도는 바람처럼, 그렇게 살다가는 한계령풀 설악산 오색계곡의 한계령 능선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이 그리 붙은 한계령풀을 만항재와 태백산으로 찾아가보겠습니다 해마다 4월이면 백두대간 산마루에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한계령풀 꽃이 핍니다 4월 초부터 새싹과 꽃봉오리를 동시에 달고 올라오기 시작해서, 5월 초면 만개하고, 6월경 전체가 시들어 없어집니다 노란 꽃잎이 6장인 꽃은 줄기 끝에 빽빽하게 달립니다 잎은 전체적으로 연한녹색이면 털이없고 연약합니다 특히 잎 한 장이 세 갈래로 갈라지고 거기서 다시 세 장의 잎이 나서, 한 장의 잎에 아홉 장의 작은 잎이 달려있는 삼지구엽초입니다 한계령풀은 덩이뿌리가 있어서 메감자라고도 불리웁니다 한계령풀은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으로 지정·보호받고 있었으나, 군락지가 발견되면서 2012년에 해제 되었습니다 0:00 - #한계령풀 intro 0:39 - 한계령풀 2:17 - #갈퀴현호색 과 함께핀 한계령풀 2:24 - 다음 야생화: 노루발, 매화노루발 한계령풀 학명: Gymnospermium microrhynchum (S Moore) Takht 개화기: 5월 꽃색: 노란색 ▶ 분포 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강원도 동해시, 인제군, 정선군, 태백시) ▶ 형태 여러해살이풀 ▶ 생육환경 - 계곡의 사면에서 자란다 - 햇볕이 잘드는 양지의 부식질이 풍부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자란다 ▶ 크기 높이가 30-40cm정도이다 ▶ 잎 탁엽은 잎같으며 반원형 또는 원형으로서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잎은 1개가 달리고 1cm정도에서 3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3개씩 갈라지는 2회3출복엽이며 작은잎자루는 길이 4-5cm이다 소열편은 중앙부의 것은 엽병이 있고 옆의 것은 엽병이 거의 없으며 중앙열편은 타원형이고 길이가 6-7cm, 폭2-3cm로서 길이 5-10mm의 엽병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원두이다 ▶ 꽃 꽃은 5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많은 황색 꽃이 핀다 첫째 꽃자루는 길이 3cm이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은 꽃자루의 길이가 3-4cm로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포는 잎 같으며 거의 둥글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와 폭이 각 10mm정도이다 ▶ 열매 열매는 둥글다 ▶ 줄기 높이 30-4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다 ▶ 뿌리 뿌리는 땅속 깊이 곧추 들어가고, 알줄기가 달린다 이 식물의 뿌리는 마치 콩나물처럼 생긴 긴 새뿌리 끝에 둥근 감자 모양의 덩이뿌리가 달려 있는데 이것이 본 뿌리이며 좀처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 번식방법 5월초에 채취한 종자를 곧바로 파종한다 성숙한 종자는 쉽게 땅으로 떨어지므로 채취시기를 적절히 택한다 이듬해 봄에 발아하며 발아율은 99%에 이른다 발아한 어린 묘는 3-4년후에 개화한다 이식이 거의 불가능한 식물이므로 파종시 적당히 솎아낸 후 재배할 것을 예측하여 파종한다 ▶ 재배특성 고산성 식물이나 재배에는 큰 어려움이 없는 식물이다 휴면기에 지상부가 고사한 후에는 적당한 멀칭처리로 잡초발생을 방지해 준다 비옥하고 보습성이 좋은 토양을 좋아하고 적절한 시비는 식물에의 생육을 촉진한다 이식성이 매우 좋지 않으므로 재배할 곳을 미리 잘 선정하여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다 ▶ 이용방안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초물분재로 적당하다 대량으로 재배하기에는 어려운 식물이므로 지피식물이나 화단용 재료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 보호방안 점봉산지역에 가장 넓게 분포하며, 소백산까지 백두대간을 따라 넓게 분포한다 개체수도 풍부하나 생태계 천이 및 기후변화에 따라 자생지가 훼손될 수 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 유사종 - 깽깽이풀(Jeffersonia dubia): 잎은 여러 장이 밑동에서 모여나고, 둥근 모양, 홑잎 끝이 오목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굴곡이 있다 ▶ 특징 - 두해살이풀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4월초에 개화하여 5월중순경에 지상부는 고사한 후 휴면에 들어간다 - 이 식물의 뿌리는 마치 콩나물처럼 생긴 긴 새뿌리 끝에 둥근 감자 모양의 덩이뿌리가 달려 있는데 이것이 본 뿌리이며 좀처럼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번호 식-65)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인용] ---------------------------------------------------------------- Subscribe to 달개비 Journey into Wildflowers, 사진: 김병지 사진촬영지: #만항재 #태백산 편집: 고희근 Music: 한계령 경음악 라이선스: Standard Youtube Lic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