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창릉신도시 첫마을 분양가 8억원...그만한 가치 있을까?

고양 창릉신도시 첫마을 분양가 8억원...그만한 가치 있을까?

안녕하세요 감사스마일 입니다. 리얼투데이 포스트 글[창릉신도시 첫마을 분양가 8억원! 그만한 가치 있을까?] https://naver.me/xxYnpbwl 고양신문 이병우 기자님 기사[창릉신도시 3개 블록 아파트공사 착공... "이르면 2027년 12월 입주"]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 를 토대로 감사스마일 생각을 이야기 드립니다. 리틀백님 투자빈민을 위한 위로 : 네이버 블로그 링크걸어드립니다. https://blog.naver.com/groovy0608 리틀백님 커피챗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gr... 창릉신도시의 아파트 건설공사 착공이 이달 이뤄진다. 지난 9월 이른바 창릉신도시의 ‘첫 마을 시범단지’로 불리는 A4블록, S5블록, S6블록에 대한 아파트 건설공사 시공업체가 각각 정해졌고, 이달 내로 착공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A4블록(900세대) 아파트 건설공사 1공구는 신세계건설, S5블록(759세대) 아파트 건설공사 2공구는 이수건설, S6블록(430세대) 아파트 건설공사 3공구는 반도건설이 맡았다. A4블록은 15개동 지하2~지상20층, S5블록은 13개동 지하2~지상20층, S6블록은 10개동 지하2~지상15층 규모다. 현재 3개(A4·S5·S6) 블록 외 창릉신도시 아파트 건설공사 착공 일정은 아직 불투명하다. 고양시 창릉신도시 담당자는 “내년에는 우선적으로 A2블록과 A3블록에 대한 아파트 건설공사 발주를 준비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 두 개 블록에 대한 설계를 현재 진행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외 아파트 건설공사를 위한 발주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내년에 시공업체를 선정할 A2블록(1292세대)과 A3블록(1461세대)는 공공임대 아파트다. 창릉신도시의 총면적은 789만㎡(239만평)다. 이중에서 주택건설용지는 191만3174㎡(58만평)으로 총면적의 24.3%에 해당한다. 주택건설용지는 아파트 32개 블록, 복합시설 13개 블록, 단독주택 5개 블록, 연립주택 1개 블록 등 총 51개 블록으로 구성됐다. 현재 창릉신도시 51개 블록 중 3개 블록에서만 아파트 건설공사 시공업체가 정해졌다. 공공분양·공공임대를 목적으로 건설하는 아파트는 그나마 나은 셈이다. 문제는 민간분양·민간임대를 목적으로 민간이 건설하는 아파트다. 공공택지 분양에서부터 민간건설업체가 외면하기 때문이다. LH가 지난해 11월, 12월 두 차례에 걸쳐 S19블록(당시 C1블록) 토지매각을 진행했는데 입찰한 건설사가 한 군데도 없어 유찰됐다. 이곳은 창릉지구 북서쪽 최상단에 위치하며, 행신동과 화정역에 가까이 있어 신도시 개발 초기에 입주하는 아파트의 애로사항인 인프라 부족 문제를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창릉지구가 3기 신도시 중에서도 서울과 가까운 편이면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과 지하철 3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는 고양은평선 8개 역 중에서 3개 역을 끼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노른자’ 부지라는 평가를 받았는데도 땅을 사겠다는 기업을 못 찾은 것이다. 사실 창릉신도시의 아파트 건설공사 착공은 늦은 감이 있다. 창릉신도시가 발표된 2018년 9월로부터 6년여 년 만으로 당초 계획보다 한참 미뤄진 일정이다. 토지보상 문제가 시간을 끌었던 데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최근 고금리의 장기화, 원자재값 인상 등으로 인해 공사비가 폭등하며 3기 신도시의 시간표는 느려졌다. 창릉지구 공공택지지구 사업은 지난해 6월 조성공사를 착공하고 토지보상을 마무리 했지만 정작 아파트를 짓는 민간건설사들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민간건설사가 LH로부터 각 블록별로 낙찰받은 뒤 아파트를 공급하고 인프라를 조성해야만 신도시가 비로소 구색을 갖출 수 있는데,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첫 단계인 택지 매각이 원활하지 않게 됨으로써 신도시 조성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창릉신도시에서 가장 먼저 착공이 이뤄지는 A4·S5·S6의 본청약은 내년 1월말로 예정되어 있지만, 입주연도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LH가 지도기반으로 분양정보를 알려주는 ‘내집 어디’에 따르면 A4·S5·S6의 입주년도는 ‘미정’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비해 창릉신도시 내 S1·S3·S4는 2026년 분양, 2029년 입주예정으로, A1블록의 경우 분양연도는 2028년, 입주년도는 2031년으로 표시되어 있다. 창릉신도시의 미래가치는 확실히 높으리라 전망하기에 창릉 첫마을 분양가 8억원보다는 높다고 생각합니다. 첫마을 입주가 28년 5월이라고 한다면, 30년 GTX-A 창릉역 개통이 되면 그 가치는 훨씬 높아지게 됩니다. 부동산 내집마련/투자처가 궁금하시면 010.3185.2791[유료상담] 출연신청 & 제휴 및 광고 문의 : [email protected] 이 영상은 투자 판단에 대한 조언일 뿐, 투자 결과에 대한 보장은 하지 않습니다 감사스마일TV 멤버십 회원(채널)에 가입하여 더욱 특별한 부동산 혜택을 누려보세요.    / @thankusmile_tv   #창릉 #창릉신도시 #창릉첫마을 #창릉본청약 #창릉분양가 #창릉미래가치 #창릉역 #고양창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