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플러스] 늦어진 결혼과 출산…'난임' 예방하려면? / YTN 사이언스](https://krtube.net/image/ExyQqa-92Y8.webp)
[건강 플러스] 늦어진 결혼과 출산…'난임' 예방하려면? / YTN 사이언스
[앵커] 생활 속에 유용한 건강 정보를 전해드리는 '건강 플러스' 시간입니다. '삼포 세대'라는 말이 있습니다. 취업난과 불안정한 일자리, 생활비 문제로 연애와 결혼, 출산 세 가지를 포기한 세대를 일컫는 말인데요,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 정작 아이를 원하는 시기가 되었을 때 임신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아기를 원하는데도 뜻대로 임신이 되지 않는, '난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대 여성 암 병원 부인 종양 센터, 주웅 교수와 함께합니다. '불임'이라는 말이 있고 '난임'이라는 말도 있는데, 두 용어가 어떻게 다른 것인가요? [인터뷰] 난임과 불임은 의학적으로는 같은 용어입니다. 과거에는 불임이라는 용어를 흔히 쓰고 불임클리닉, 불임 치료 등의 명칭을 붙였습니다. 영어로 infertility라는 단어를 그대로 해석한 것이죠. 그런데 이때 말하는 불임은 의학적 정의에 의해, 아이를 원하는 부부가 피임을 안 하고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하면서도 1년 동안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이런 상태에서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고 임신을 방해하고 있던 요인을 제거한다든지, 의학의 도움으로 임신을 할 수 있게 되죠. 따라서 불임이라는 단어는 임신 자체가 아예 불가능하다는 뉘앙스를 줄 수 있어서 ‘현재까지는 임신이 되지 않았지만 향후 노력을 통해 임신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난임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앵커] 결혼 생활 1년 동안, 아기가 없는 경우가 드물지 않은 것 같은데, 그렇다면 난임 환자가 그렇게 많은 것인가요? [인터뷰] 다른 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녀가 피임하지 않은 상태에서 1년 동안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했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는 것이고요, 생리불순, 약 복용, 또는 주말부부라든지 이런 기타 문제를 모두 배제하고 따져봐야 합니다. 임신이 한 번도 된 적이 없는 경우를 원발성 난임, 이전에 임신이 된 적이 있지만, 그 후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이차성 난임이라고 합니다. 보통 한 생리주기에 임신이 될 확률은 20-25% 내외로 알려졌고 결국 피임을 하지 않으면 1년 내에 자연 임신이 될 확률은 90% 이상이 됩니다. [앵커] 최근에 난임으로 힘들어하는 부부가 점점 늘어 난 것 같은데, 난임이 증가한 원인은 무엇인가요? [인터뷰] 여성의 수태능력은 20-30세까지 가장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www.ytnscience.co.kr/progr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