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현근 박사: 비온의 초이론과 이에 대한 토론
Bion's metatheory and discussions on the topic among ICC trainees. 비온의 초이론과 이에 대한 ICC 연구원들의 토론. More notably, Bion's episteme shifted Freud's—and even Klein's—emphasis on the life and death instincts (drives) to that of emotional truth, O, as first cause, thereby rendering what heretofore were the libidinal and destructive drives, along wit h the epistemophilic drive, into L, H, and K emotional categories and linkages between objects and between self and objects. Grotstein, James S.. A Beam of Intense Darkness (p. 79). Taylor and Francis. Kindle Edition. This lecture provided in one of the classes of Innovative Coaching Center (ICC) - "Object Relations Theory of Wilfred R. Bion" - in Korean (한국어) is publicly posted to help Korean-speaking communities and their members located in various areas of the world have an easy and free access to the psychoanalytic and spiritual insights and wisdoms. 이 영상 강좌는 세계 여러 곳에 계시는 한인 공동체와 공동체 소속원들께서 정신분석적, 영성적 통찰과 지혜에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돕고자 여러분들께 공개합니다. ▶과목 ICC2022: 비온의 대상관계 이론 (Object Relations Theory of Wilfred R. Bion) ▶강사 신현근 교수 (PhD, Life Coach, Psychoanalyst, Spiritual Director) ▶일정 2020년 2월 10일 - 4월 27일. 매주 월요일 오전 5:30-7:00 EST(미동부시간) 2020년 2월 3일 - 4월 20일. 매주 월요일 오후 10:00-11:30 EST(미동부시간 2020년 2월 5일 – 4월 22일 매주 수요일 오전 7:00-8:30 EST (미동부시간) ▶개요 이 강좌에서는 수학자, 과학자, 철학자, 영성가, 정신분석가 등으로 다양하게 이해되는 비온의 과학적, 철학적, 영성적 추구와 태도가 정신분석가로서의 비온의 대상관계 이론과 임상적 태도 및 이론에 미친 영향을 깊이 공부합니다. ▶수업 준비와 진행 학생들이 주교재의 내용은 물론 추천 교재 속에 있는 관련되는 논문을 미리 읽고 수업에 참여하기를 권장합니다. 수업 중의 토론을 통하여 서로의 경험과 이해가 풍부하게 나누어지기 바랍니다. 주어진 교재를 보완하기 위한 관련 논문에 대한 정보는 별도로 제공됩니다. ▶한글 주교재 흑암의 빛줄기: 윌프레드 비온의 정신분석학(2012). 제임스 S. 그롯슈타인(지음). 이재훈(옮김).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영어 주교재 Grotstein, J. S. (2007). A beam of intense darkness: Wilfred Bion’s legacy to psychoanalysis. London: Karnac. ▶추천 교재 Mawson, C. (Ed.). (2011). Bion today. London: Routledge. Vermote, R. (2018). Reading Bion.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