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irang Prime Ep168 In the Heat of the Battle of Nakdong River 뜨거운 가슴으로 맞서 싸우다! 낙동강 전투!

Arirang Prime Ep168 In the Heat of the Battle of Nakdong River 뜨거운 가슴으로 맞서 싸우다! 낙동강 전투!

In the Heat of the Battle of Nakdong River The stories of the survivors from the Battle of Nakdong River. During the Korean War, the fiercest battle was the Battle of Nakdong River of 1950. For 55 days, invading North Korean troops crossed arms with South Korean and allied soldiers determined to hold the line at the Nakdong River. The stories of student soldiers and survivors from the battle and Mt. Eorae, a pivotal spot during the battle, bring the battle back to life. What does the Battle of Nakdong River mean to them? US and allied soldiers join the Battle of Nakdong River. The Battle of Nakdong River wasn't solely South Korea's fight. With the help of US and allied forces, South Korea achieved victory. How do the allied soldiers think of the Korean War? We also present the story of a soldier who lost his twin brother in the war, and learn more about the spirit of courage and sacrifice. The search for bodies from the Battle of Nakdong River All battles have survivors and casualties, and efforts are ongoing to find more soldiers who fell during the battle. Even today, there is someone waiting to be discovered. No matter what happens, no man will ever be left behind. It is thanks to the soldiers that Korea is what it is today. Arirang Prime recounts what is arguably the fiercest battle of the Korean War. 뜨거운 가슴으로 맞서 싸우다! 낙동강 전투! 치열했던 낙동강 전투. 그 속에서 살아남은 자들의 이야기. 1950년.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치열했던 전투가 낙동강에서 일어났다. 낙동강 방어선을 지키려는 대한민국과 침투해오는 북한군과의 55일간의 혈투! 당시 살아남았던 참전용사들이 들려주는 생생한 그 날의 이야기. 전투가 일어났던 어래산 바로 근처에 살고 있는 이장걸씨. 전쟁 당시 학도병으로 참전했던 그는 이곳을 떠나지 못하고 매일 산을 오르고 있는데.... 그에게 낙동강 전투는 어떤 의미였을까. 미군과 유엔이 참전했던 낙동강 전투. 낙동강 전투는 우리들만의 전투가 아니었다. 미군과 유엔의 참전으로 우리는 승리라는 값진 성과를 이루어 냈다. 당시 참전 군인들은 한국 전쟁을 어떻게 회상하고 있을까. 그리고 한국 전쟁에서 동생을 잃은 쌍둥이 형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그들이 한국에 남기고 온 용기와 희생에 대해 되짚어본다. 낙동강 전투 그 후, 유해를 찾기 위한 우리의 노력. 살아남은 자가 있다면 살아남지 못한 자도 있다. 그들을 찾기 위한 우리의 노력. 유해 발굴. 지금도 땅 속에는 누군가 묻혀있다. 우리는 포기하지 않고 그들을 찾기 위해 유해 발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생존자와 전사자. 그들 모두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바로 지금. 6월 25일 치열했던 그 날을 떠올려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