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송가 338장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교회 음악#예배음악#가야금 연주#박혜경 성미숙

찬송가 338장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교회 음악#예배음악#가야금 연주#박혜경 성미숙

"내 주를 가까이 하게 함은"은 한국 교회에서 널리 불리는 찬송가 중 하나로, 깊은 신앙 고백과 소망을 담고 있는 곡입니다. 이 찬송가는 영어 찬송 **"Nearer, My God, to Thee"**를 번역한 것으로, 고난과 슬픔 속에서도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려는 마음을 노래합니다. Nearer, My God, to Thee 찬송가 338장 (통일 찬송가 기준) 작사 Sarah Flower Adams (1805–1848) 영국의 여류 시인 사라 플라워 아담스가 1841년에 쓴 시입니다. 야곱이 광야에서 돌베개를 베고 자다가 하나님의 사자를 보는 창세기 28장의 이야기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이 시를 통해, 삶의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는 신앙인의 간절한 소망을 표현했습니다. 작곡 Lowell Mason (1792–1872) 이 찬송은 여러 멜로디로 불리지만, 가장 널리 알려진 곡조는 미국 작곡가 로웰 메이슨이 작곡한 **"Bethany"**입니다. 서정적이며 묵상적인 분위기를 지닌 선율로, 장례식이나 고난 중의 예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성경적 배경 창세기 28장 10~22절 야곱이 도망자 신세로 외로운 광야에서 잠들었을 때, 꿈에 하늘에 닿은 사닥다리를 보고 하나님의 약속을 받게 됩니다. 이 찬송은 바로 그 야곱처럼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께 가까이 가고자 하는 믿음의 자세를 노래합니다. 곡의 의미와 사용 고난 중 위로: 고통이나 시련 속에서 하나님께 나아가기를 소망하는 내용. 믿음의 여정: 험한 인생길에서도 주님과 함께 걷는 신앙 고백. 영적 갈망: “내 일생 소원은 주께 더 나가기 원합니다”라는 후렴은,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제를 갈망하는 마음을 잘 표현합니다. 타이타닉 호 침몰 시: 전해지는 이야기로, 1912년 침몰한 타이타닉 호에서 선상 악단이 마지막으로 연주한 곡이 바로 이 찬송가라는 설이 있습니다.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이 곡이 사람들에게 죽음을 앞두고도 평안을 주는 찬송이라는 인식이 퍼지는 데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