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몸 어르신 인공지능 친구 등장..‘AI 노인말벗서비스’
[앵커멘트] 홀로 사는 어르신들 적적할 때 있으실 텐데, 경기도에선 챗지피티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해 ‘노인말벗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말벗 인공지능 친구가 통화하다 상대 어르신의 건강상 위험이 감지되면, 긴급 복지서비스에 알려 안전까지도 챙깁니다 최지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홀로 사는 78세 백건영 할아버지 집 벨이 울리자 전화를 받습니다 [녹취] 오늘 식사는 하셨어요?/네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그냥 하루하루 시간은 잘 가요 / 그렇군요, 저는 요즘 새로운 취미 생활을 시작했는데 너무 재미있어요 /나도 취미 생활이 하나 있어서 그거 하면서 지내요 / 어떤 취미 생활이요? 안부를 주고받는 둘 챗지피티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AI 친구가 걸어 온 전화입니다 이날은 첫 인사를 주고 받는 날 앞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이렇게 얘기를 나누게 됩니다 [인터뷰] 백건영/AI 노인말벗서비스 이용자 이것이 조금 더 진화하고 발전 되면은 이것도 하나의 친한 친구가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친구 사귀듯, AI 말벗은 독거어르신의 말을 기억해 나중엔 이 얘기, 저 얘기 더 진화해 깊이 있게 나눌 수 있습니다 [인터뷰]정규희/ AI 노인말벗서비스 이용자 로봇이 전화한 건지 몰랐어요, 참… 그렇게 전화 받고 나면 우리는 위안이 좀 되지… 아무래도 경기도가 독거어르신 등을 위해 시작한 ‘AI 노인말벗서비스’ 챗지피티 등 대규모 언어 모델을 활용한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정에 접목해 도입했습니다 [인터뷰]이예슬/경기도사회서비스원 주임 기본적인 안부 확인은 당연히 되고요 그리고 이제 ‘기억 대화’라고 해서 어르신이 만약에, 이전에 어떤 내용으로, 주제로 대화했다면 그걸 기억해서 하는 부분까지는 조금 수준이 되는 정도… 이때 살기 어렵다, 외롭다 등 경제적,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위기 징후가 감지되면 안전상 문제를 직감해 담당 직원에게 AI가 알려주고, 사람이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하게 합니다 또 3번까지 전화를 했는데 역시 통화가 안 되면, 지자체 인근 복지서비스 담당자가 직접 거주지로 가 상황을 확인하게 합니다 그래서 그에 맞는 조치를 취하는, 단순한 말벗서비스에서 나아가 복지서비스까지 연계했습니다 [인터뷰]한경수/경기도 노인복지과장 경기도는 노인 인구가 2백만 명이 넘어서고 있습니다 매년 20만 명 이상씩 증가하고 있는데요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사람으로 직접 하는 데에는 증가하는 인구수만큼 따라가기가 한계가 있어… 서비스를 원하는 경기 지역 65세 이상 노인 누구나 상시로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하면 경기도 AI말벗 친구를 반갑게 만날 수 있습니다 경기GTV 최지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