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워치] '우주굴기' 착착 밟아가는 중국…달 뒷면 토양 싣고 지구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차이나워치] '우주굴기' 착착 밟아가는 중국…달 뒷면 토양 싣고 지구로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차이나워치] '우주굴기' 착착 밟아가는 중국…달 뒷면 토양 싣고 지구로 [앵커] 중국의 달 탐사선 '창어-6호'가 달 뒷면의 샘플을 가지고 지구로 복귀 중입니다. 달 뒷면에서 샘플을 채취한 것은 세계 최초인데요. 베이징 연결합니다. 배삼진 기자, 미국에서도 축하 메시지를 내놓기도 했는데요.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기자] 예, 중국은 '창어-6호'의 달 뒷면 탐사 성공에 고무된 모습입니다. 중국 매체들은 '창어 6호'의 움직임을 시시각각 전하며 주요 뉴스로 다루고 있습니다. '창어 6호'는 지난 2일 달 뒷면에 도착한 뒤 48시간 동안 머물며 탐사 작업과 달 토양 샘플 채취를 했죠. 현재는 궤도선과 도킹한 뒤 지구로 향하고 있습니다.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뒷면의 토양 채취는 세계 최초입니다. 미국과 러시아, 일본 등 우주 선진국들이 못한 걸 중국이 해낸 겁니다. 미국이 1969년 달 앞면에 성조기를 꽂았던 것처럼, 이번에는 중국이 달 뒷면에서 오성홍기를 펼쳤죠. 중국은 달의 기원과 구조, 진화 과정 등을 연구하겠다는 입장인데, 사실 더 큰 계획이 진행 중입니다. 2026년에는 달 남극에서 물의 존재를 확인하고, 2028년에는 달 토양으로 만든 벽돌로 구조물을 세워본 뒤, 2030년까지 달에 우주기지를 건설하겠다는 겁니다. 달 유인 탐사계획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가 지연되고 있는 미국도 '창어 6호'의 달 탐사 프로그램 성공을 축하하며 협력 의사를 밝혔는데요. 이런 속도라면 달이 중국에 점령당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데, 중국은 미국의 우주 협력 제안에 먼저 제재를 풀라고 응수했습니다. [앵커] 지난 4일은 톈안먼 사태가 발생한 지 35주년이 되는 날이었는데요. 홍콩에서는 추모집회가 열리지 못했고, 중국에서도 톈안먼 지우기 작업이 진행됐다고요? [기자] 예, 지난 4일은 톈안먼 사태가 발생한 지 딱 35주년이 되는 날이었습니다. 저도 톈안먼 광장에 다녀왔는데요. 광장에는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으로 많은 관광객들로 북적거렸습니다. 하지만 여느 때보다 경비와 보안 태세는 강화됐는데요. 지하철과 연결된 출입구는 통제됐고, 천안문 성루 역시 폐쇄됐습니다. 중국의 SNS인 웨이보와 위챗, 샤오훙수 등에서는 프로필 이미지와 아이디 변경이 금지되기도 했습니다. 온라인에서는 6월 4일과 연관된 '64'나 '5월35일 등 톈안먼 사태를 우회적으로 가리키는 단어나 문구 게재, 검색도 막았습니다. 국가보안법이 강화되면서 홍콩에서는 추모 행사가 열리지 못했습니다. 삼엄한 분위기 속에서도 '8964'를 그리는 행위예술이 펼쳐졌고, 일부 시민은 '8964'가 새겨진 옷을 입고 거리로 나섰는데요. 중화권에서는 대만 타이베이에서 예술가들이 모인 가운데 추모 행사가 열렸습니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 역시 "톈안먼의 기억이 역사의 격랑 속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영국, 네덜란드, 일본 등 세계 곳곳에서도 반중 인사들이 중심이 돼 추모 행사가 열렸습니다. 미국 정부도 당시 봉기했던 사람들의 용기와 희생을 잊지 않겠다며 중국 내 인권 신장을 위한 노력을 결코 멈추지 않겠다는 내용의 성명을 내놨는데요. 중국은 반발했습니다. [마오닝 / 중국 외교부 대변인] "미국이 잘못을 즉각 바로잡고, 중국의 주권과 발전 경로를 존중하며, 이를 바꾸려 하지 않겠다는 미국 지도자들의 약속을 준수하길 바랍니다. 이념 대결을 중단하고, 인권을 구실로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도 중단할 것을 촉구합니다." [앵커] 최근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가 대만을 방문했습니다. 대만 국가 지칭 등 중국의 비난을 살만한 발언들이 나왔지만, 중국 언론들은 별다른 언급이 없었다죠? [기자] 예,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는 어릴 때 대만에서 미국으로 간 1세대 이민자인데요. 지난달 26일 있었던 행사에서는 대만과 중국을 다른 색깔로 표시를 했고요. 파트너사 경영자들을 만난 자리에서는 대만이 가장 중요한 국가라고 언급했습니다. [젠슨 황 / 엔비디아 CEO] "대만은...▣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