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사 06, 중동부전선 전투, 조국의 운명은 전차와 싸워 이기느냐, 지느냐에 달려 있다! 말고개전투, 춘천대첩, 소양강 남안에 진지를 구축하고, 적을 강안에서 격파하라!

6.25전쟁사 06, 중동부전선 전투, 조국의 운명은 전차와 싸워 이기느냐, 지느냐에 달려 있다! 말고개전투, 춘천대첩, 소양강 남안에 진지를 구축하고, 적을 강안에서 격파하라!

중동부전선 전투는 김종오 대령이 지휘하는 국군 6사단과 북한군 2군단 예하 2사단, 12사단, 5사단, 고속기동부대인 603모터사이클연대가 북한군의 기습적인 남침공격이 시작된 1950년 6월 25일 새벽부터 6월 30일까지 6일 동안 벌인 공방전으로 춘천-가평 전투, 인제-홍천 전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중동부전선 지역은 험준한 산악과 구불구불하고 협소한 도로, 그리고 남쪽과 서쪽으로 흐르는 북한강과 소양강 등 천연장애물로 이루어져 방어에 유리한 지형적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역 내 도로망은 화천-춘천-홍천을 잇는 5번 도로와 양구-춘천-가평을 잇는 46번 도로, 인제-홍천-서울로 이어지는 44번 도로, 인제-현리-홍천을 잇는 451번 도로가 있었으나, 노면 상태가 열악하고, 동서로 횡단하는 도로는 발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6.25전쟁 초기 가장 잘 싸운 부대인 국군 6사단은 사단사령부를 원주에 두고 임부택 중령의 7연대는 춘천, 함병선 대령의 2연대는 홍천, 민병권 중령의 19연대는 예비대로 원주에 주둔하고 있었습니다. 북한군은 수도권의 국군 주력부대를 포위 섬멸하기 위해, 1차로 한강 이북에서 양익 포위하고, 2차로 수원 남쪽에서 양익 포위하는 작전계획을 수립했으며, 춘천-홍천 지역에 투입한 김광협 소장의 북한군 2군단 예하 3개 사단과 고속기동부대인 모터사이클연대는 2차 포위를 위한 조공 부대였습니다. 북한군 2군단은 화천-춘천 축선에 이청송 소장의 2사단을, 인제-홍천 축선에는 전우 소장의 12사단과 고속기동부대인 603모터사이클연대를 투입했으며, 제2제대로 김창덕 소장의 5사단을 보유함으로써 방어하는 국군 6사단보다 병력은 3.6배, 화력은 6배 이상의 우세를 점하고 있었습니다. 6.25전쟁에 대한 많은 영상이 있지만, 기초적인 사실 조차 확인하지 않은 영상들이 너무 많습니다. 심지어 공영방송의 다큐멘터리도 조차도 사실과 다른 부분을 이야기하는 형편입니다. 6.25전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참전했던 국군과 미군의 회고록, 미국 논픽션 전쟁사 작가의 간행물, 중공군 참전기록 등 다양한 정보를 교차 검증하여 가장 정확한 6.25전쟁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6.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시작되어 3년 1개월 2일 만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 민족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상처를 남긴 채 종전이 아닌 휴전의 형태로 정지된 비극적 전쟁입니다. 자유진영 전사자는 한국군 149,005명, 미국을 포함한 유엔군 40,306명 등 189,311이 희생되었습니다. 공산진영은 북한 294,000명, 중공 197,653명, 소련 315명 등 491,968명이 전사했습니다. 6.25전쟁으로 인해 민간인을 포함하여 5,991,484명이 희생되었습니다. 5,991,484명의 희생자 중 5,218,480명이 한국인입니다. 한국인 인명 피해로만 본다면 고구려-수나라 전쟁, 고려-몽골 전쟁,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모든 대외전쟁을 합친 것 보다 많습니다. 불과 70여 년 전 한반도를 피로 물들인 6.25전쟁은 반만년 한민족 역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최대 규모의 전쟁이었습니다. [참고자료] 6.25전쟁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 주요전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영웅(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중국군의 한국전쟁사(국방부, 군산편찬연구소), 낙동강(류형석, 플래닛미디어), 6.25전쟁 징비록(백선엽, 책밭), 기갑전으로 본 한국전쟁(권주혁, 지식산업사), 6.25전쟁과중공군(박실, 정미디어), 6.25전쟁(존 톨랜드, 바음), 콜디스트 윈터(데이비드 헬버스템, 살림), 이런전쟁(T. R. 페렌바크, 플래닛미디어), 중국군의 한국전쟁사(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한국전쟁(왕수쩡, 글항아리), 중국이 본 한국전쟁(홍학지, 한국학술정보), 항미원조(리펑, 다른생각) [영상 출처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