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에 더 팍팍한 생계...공공요금 줄인상에 부담↑ / YTN

1분기에 더 팍팍한 생계...공공요금 줄인상에 부담↑ / YTN

[앵커] 소득 하위 20% 가구는 한겨울을 포함한 1분기에 살림살이가 가장 팍팍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데 난방비 폭등에 공공요금 인상까지 잇따르면서 서민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형원 기자입니다 [기자] 서민 살림살이가 가장 힘든 시기는 1분기로 조사됐습니다 2019년부터 2021년 1분기 기준 소득 하위 20%가 쓰는 필수 생계비는 평균 가처분소득의 93%에 육박했습니다 식료품과 주거, 교통비 등으로 쓰는 필수 생계비 비중이 다른 분기보다 훨씬 크게 나타난 겁니다 1분기에는 겨울철이 포함돼 난방비 등 연료비 지출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가 쓴 연료비는 한 달 평균 8만 9천787원으로 다른 분기의 최대 2배가 넘습니다 이렇게 지출은 큰데 1분기 소득은 더 낮았습니다 겨울철 농가가 비수기를 맞고 건설업 등 정부 주도 일자리가 다른 때보다 적은 탓입니다 문제는 올해도 고물가에 공공요금 인상까지 잇따라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올해 1분기 전기요금은 1981년 이후 최대 폭인 kWh당 13 1원 올랐고, 동결된 가스요금도 2분기부터는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이창양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지난해 12월 30일) : 가스요금의 경우 동절기 난방비 부담, 전기요금 인상 등을 고려해 2/4분기 이후 요금 인상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 여기에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과 상·하수도 요금 인상까지 예고되자, 정부는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된 요인으로 공공요금을 꼽으며 지자체에 인상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추경호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지난 13일) : 원가 절감, 생산성 향상 등 자구 노력을 통해 지방 공기업 등이 인상 요인을 최대한 자체적으로 흡수해주시기 바랍니다 ] 또 에너지바우처 지급을 늘리는 등 취약계층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물가 고공행진에 생계 부담을 덜기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YTN 이형원입니다 YTN 이형원 (lhw90@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