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30억 그루 나무심어 탄소 3400만톤 줄인다
정부가 세계적인 의제인 탄소중립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050년까지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탄소 3400만톤을 줄이기로 했다 산림청은 산림의 탄소 흡수저장 기능을 높이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을 마련해 20일 발표했다 영국 유럽연합 일본 등 주요국이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국제사회와 우리나라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최적의 자연친화적 해법으로 ‘숲과 나무’를 꼽고 있다 유엔 역시 기후문제 해결수단으로 산림을 주목했고 2020년 다보스 포럼에서 제안된 ‘1조 그루 나무심기’는 세계 각국의 주요 의제로 확산되고 있다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연간 4560만 톤으로, 국가 총배출량의 6 3%를 상쇄하고 있으나 70~80년대 집중적으로 조성한 산림의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있어 현재 추세대로라면 2050년 흡수량이 1400만 톤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림청이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은 ‘30년간 30억 그루의 나무심기로 2050년 탄소중립 3400만 톤 기여’를 목표로 △산림의 탄소흡수력 강화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등 4대 정책 방향과 12대 핵심과제를 담았다 12대 핵심과제를 계획대로 추진하면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연간 1400만 톤에서 2680만 톤으로 늘고 목재 이용에 따른 탄소저장량은 200만 톤까지 이르게 되며 화석에너지를 산림바이오매스로 대체함으로써 가능한 탄소배출 감축량은 520만 톤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수종·임지별 영급균형 조정을 위한 목재수확 모형을 개발하고 벌기령(목재수확 시기)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며 임도·임업기계 등 산림경영 기반을 확충해 영급구조를 개선한다 영급구조 개선으로 젊어진 숲은 연간 생장량이 늘어 보다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테다소나무 백합나무 가시나무류 등 탄소흡수능력과 환경적응력이 우수한 수종의 조림을 확대하고 우량 종자·묘목의 안정적인 공급체계를 구축하며 드론을 통한 묘목 운반 및 기계화 식재 등 지능형(스마트) 식재기술을 개발한다 이와 함께 도시와 섬 지역, 유휴토지 등을 대상으로 신규산림 조성을 확대하고 북한 황폐산림 복구 및 해외 산림협력을 통해 국외 탄소흡수원을 확충한다 여기에는 섬 지역 산림 22만ha에 대한 자생식물 중심 복원사업 및 환경개선사업을 집중적으로 추진하고 한계 농지·수변 지역 대상 산림조성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에 개도국 황폐화 방지사업(REDD+)*사업을 250만ha 이상 추진해 연간 500만tCO2의 해외 감축실적을 확보하고 한국을 개도국 황폐화 방지사업 전문인력 양성 및 감축 실적 거래의 허브로 육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탄소저장능력이 인정된 목재 이용을 확대하고 산림바이오매스 산업을 육성한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관계부처 협의, 지자체 등 현장과의 소통,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탄소중립 이행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추진전략을 보완해 3분기에 이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기후위기는 전 지구적이고 범국민적인 과제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 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