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위기의 농업···장단기 대책 ‘급선무’
코로나19는 농업계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충격을 가져왔습니다 우리 농업의 취약한 측면이 낱낱이 드러났고, 일부 품목은 기반이 붕괴될 수준까지 타격을 입었는데요 농업분야 국감 쟁점 분석, 그 세 번째 순서로 ‘코로나19 위기극복’을 보도합니다 올해 농업분야 국정감사는 코로나19가 화두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코로나19로 발생한 피해 최소화 방안부터 수면 위로 부상한 우리 농업의 취약점까지 전방위적인 질의가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먼저 코로나19로 인한 농업계 피해에 대한 지원방안이 쟁점으로 꼽힙니다 특히, 친환경농가들은 코로나19로 인해 존립 위기 수준까지 타격을 받았습니다 코로나19로 전국의 학교가 비대면 수업에 들어간 점이 친환경농가에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친환경농가의 판로 대부분이 학교급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농산물은 연간 총 14만톤, 9,000억원 규모로 추산됩니다 그중 친환경농산물이 약 8만톤, 5,000억원 가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불용된 학교급식 예산을 활용한 꾸러미사업이 재차 추진될 지가 농가의 관심사입니다 하지만 학교급식 예산 사용주체가 지방자치단체에 있다 보니 2차 꾸러미 사업 추진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또, 코로나19로 우리 농촌의 고질적인 문제인 인력난이 속수무책으로 발생했습니다 농업 현장은 외국 인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지만, 올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유입이 뚝 끊겼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상반기 4,532명의 계절근로자를 농가에 배정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입국인원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하반기에 배정된 인원 991명도 입국이 불투명합니다 따라서 농촌 인력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앞으로도 3~5년마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에 농업 인력 확보방안을 설계해야 한다는 겁니다 도농인력중개시스템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이밖에도, 식량안보 확보도 농업분야 국감의 주요 이슈로 지목됩니다 올해 식량 수출국들의 수출 제한 조치가 잇따르면서 식량안보가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기 때문입니다 이번 국감에선 정부의 곡물자급률 목표치와 식량안보 시스템에 대한 집중점검도 추진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NBS한국농업방송 유튜브 구독 ◇ NBS한국농업방송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