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가 8.5%?! 셀 줄은 알았지만 너무 센데.. | 브레이너드 "거봐! 5월에 대차대조표 축소 발표 한다!!" | 전문가들 "이번엔 인플레 고점 조짐이 보이는데?"
#미국주식 #미국시황 #미국증시 #투자전략 #채권금리 #금리인상 #대차대조표 #연준 #FOMC #인플레 #국제유가 #연합인포맥스 #임하람 #뉴요기요 ▲ 8 5% 오른 물가에 월가도 ‘헉’ 3대 지수 하락 ▲ 미증시, 하락 이유는 ? 3월 CPI 전년비 +8 5%, 전월비 +1 2% (전문가 예상치 전월비 +1 1%, 전년비 +8 4%) 물가상승률, 1981년 12월 이후 40년여 만에 최고 수준 2월 CPI 전월비 +0 8%, 전년비 +7 9% 변동성 큰 음식과 에너지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도 기록적인 수준 3월 근원 CPI 전월비 +0 3%, 전년비 +6 5% (예상치 전월비 +0 5%, 전년비 +6 5%) 2월 전월비 +0 5%, 전년비 +6 4% 3월 물가, 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폭등세 3월 에너지 가격, 전월비 +11% 2월 +3 5%보다 상승폭 세 배 가까이 치솟아 연료유 가격, 전월비 +22 3% 전년비 +70 1% 휘발유 가격, 전월비 +18 3% 전년비 +48 0% ▲ 근원 CPI 상승률, 예상보다 낮아 발표 직후 안도했지만 오후로 갈수록 8 5%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 맷 페론 / 야누스 헨더슨 “근원 CPI가 6 5%에 그쳤다는 건 아주 좋은 부분이다” “최악의 상황을 준비했던 시장에는 안도감을 주는 부분” ▲3월 CPI 발표 핵심은 ‘인플레 고점’ 논란 앤드류 헌터 / CE “근원 CPI 상승 압력이 완화되는 모습 중요해” “원유 가격 하락하고 있어 4월에 에너지 가격 상승세 일부 하락 반전될 수도” "연준 당국자들이 날마다 더 매파적인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이번 수치는 다음 회의부터 회의마다 50bp씩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이들의 계획을 바꾸지는 않을 것" 이안 셰퍼드슨 / 판테온 “인플레가 꺾일 것으로 확신한다 다만 그 속도가 문제” ▲ '채권왕' 제프리 건들락 "인플레, 정점에 가깝다" “기저효과 없어지며 인플레 고점 기록하는 중” "정점에 도달했지만 끈질기고, 불만스러운 수준으로 높을 것" “연준, 이런 상황에서 인플레에 맞서 싸우는 데 실패” "연준이 (목표치인) 2%에 대해 말하는 것 우스워” "임금 인플레이션은 현실이며, 모두가 알고 있다" ▲멘트 제레미 시겔 / 와튼스쿨 “연준, 50bp 금리 인상을 수차례 이어갈 듯” “인플레 상승, 몇 달 더 지속 될 수도 ” ▲종목 씨티, 스타벅스 투자의견 ‘중립’으로 하향 모건스탠리, MS 비중 확대 유지 씨티, 애플 투자의견 매수 유지 BOA, 엔비디아 ‘탑픽’ 유지 씨티, 씨스코 투자의견 ‘매도’로 하향 애플 공급업체 페가트론, 코로나로 중국 생산 일시 중단 페가트론, 전체 아이폰의 20~30% 조립 투자자들, 내일부터 시작될 실적시즌에 주목 ▲ WTI +6 7% 다시 100달러 위로 중국 코로나 규제 다소 완화되는 분위기 OPEC “러시아의 원유 손실분 대체 불가” 올해 원유 수요 전망치 기존 예상보다 50만 배럴 하향 ▲ 10년물 국채금리 2 71%대 장중 하락 후 재상승 비트코인 4만달러 아래로 하락 ▲연준 인사 발언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인플레 낮추는 것이 연준의 주요 책무” “5월 회의에서 대차대조표 축소 계획 공식화” “6월에 대차대조표 축소 시작할 수 있다” ▲월가시각 올해 초 증시 매도세, 시작에 불과했다? 마이클 하트넷 / BOA "전쟁 충격 있었던 3월 만큼 약세는가 아니지만 투자 심리는 여전히 나쁘다" "오르면 팔자는 쪽 1~2월 매도세는 애피타이저, 아직 메인 코스 남아있다” ttps:// 마르코 콜라보니치 / JP모건 “주식에서 이익을 실현하고, 큰 매도세 나온 채권으로 일부 갈아탈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