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K] 네오트랜스 신분당선 양재역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으로 환승하기 Seoul Subway Transfer ソウルの新地下鉄

[4K] 네오트랜스 신분당선 양재역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으로 환승하기 Seoul Subway Transfer ソウルの新地下鉄

신분당선 광교역에 다녀왔습니다. 일을 마치고 열차에 타고 잠시 눈을 감으니 순식간에 서울에 도착해있더군요. 쾌적한 지하철 실내도 좋았고, 양재역에서 내리기 전 안내스크린으로 속도도 보면서 돌아왔습니다. 다른 도시철도 노선이 환승되는 역에서는 필연적으로 환승 게이트를 통과해야 한다. 개통 때부터 환승역이었던 강남역, 양재역, 정자역은 상하선 모두 같은 환승게이트를 거치게 되는데, 차후에 환승역이 된 판교역은 상하선에 각각 환승게이트가 있다. 이게 동선이 덜 겹쳐서 좋을 수도 있는데, 경강선 쪽에서 신분당선을 타러 갈 때 정신을 놓고 가다간 방향에 따라 영 반대방향으로 헛걸음할 수 있다. 미금역은 더 심각한데 아예 상행은 상행끼리, 하행은 하행끼리만 환승통로를 뚫어놓았다. 따라서 엇갈린 환승의 경우 필연적으로 수인분당선 대합실층으로 우회해야 한다. 환승게이트를 통해 신분당선 구역으로 진입하는 것만으로는 별도운임이 지불되지 않고, 신분당선을 타고 이동하여 신분당선 구역 바깥으로 나갈 경우 별도운임이 지불된다. 별도운임은 1,000원 또는 1,200원으로 이용 구간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불된다. I went to Gwanggyo Station on the Shinbundang Line. After finishing work, I got on the train and closed my eyes for a while, so I arrived in Seoul in an instant. The comfortable interior of the subway was good, and before getting off at Yangjae Station, I came back while watching the speed on the information screen. At stations where other urban rail lines transfer, you must inevitably pass through a transfer gate. Gangnam Station, Yangjae Station, and Jeongja Station, which have been transfer stations since the opening, go through the same transfer gates for both upper and lower lines. This may be good because the movement lines are less overlapping, but when you go from the Gyeonggang Line to the Shinbundang Line, you can wander in the opposite direc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 you left your mind. Migeum Station is more serious, but only the up-bound passages are made for each other, and the down-bound routes are only open to each other. Therefore, in the case of a crossed transfer, it is inevitably necessary to detour to the waiting room floor of the Bundang Line for multiple people. A separate fare is not paid just by entering the Shinbundang Line area through the transfer gate, but a separate fare is paid when moving on the Shinbundang Line and exiting the Shinbundang Line area. The separate fare is 1,000 won or 1,200 won, which is pai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ection used. 新ブンダン線広橋駅に行ってきました。仕事を終えて、列車に乗ってしばらく目を閉じたのであっという間にソウルに到着していますね。快適な地下鉄室内も良かった、良才駅から降り前案内画面に速度も見帰ってきました。他の都市鉄道路線が乗り換えている駅では、必然的に乗り換えゲートを通過しなければならない。開通時から乗換駅だった江南駅、良才駅、亭子駅は上下線とも同じ乗り換えゲートを経るが、将来乗換駅になった板交易は上下線にそれぞれ乗り換えゲートがある。これ動線が少ない重ねいいこともありますが、硬鋼線新ブンダン線を乗りに行くときの精神を置いて行く間の方向に沿ってゼロ反対方向に無駄足することができる。美金駅より深刻だまったく、上りは上り同士、下りは下り同士乗り換え通路を開けた。したがって交錯した乗り換えの場合、必然的に水仁ブンダン線待合室層に迂回しなければならない。乗り換えゲートを介して身分当選エリアに進入するだけでは、別途運賃が支払われず、新ブンダン線に乗って移動して、新ブンダン線エリア外に出る場合は、別途運賃が支払われる。別途運賃は1,000ウォンまたは1,200ウォンで利用区間に応じて差分的に支払われ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