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현미 - 마지막 잎새 (1971)

주현미 - 마지막 잎새 (1971)

노래 이야기 오늘은 '불멸의 가수' 고(故) 배호 선배님의 노래 '마지막 잎새'를 들려드립니다 '파도'에 이어 두번째로 소개해드리는 배호 선배님의 곡인데요 1971년, 그러니까 선배님이 소천하시던 해에 마지막으로 발표된 곡으로, 병상에서 이 노래를 녹음했다고 하지요 '죽어도 노래하다 죽겠다'는 음악에 대한 열정을 쏟아내고 그 해 11월 7일 배호 선배님은 우리 곁을 떠나가셨습니다 '마지막 잎새'는 자신의 운명을 암시하는 듯한 가사로 사람들에게 더 큰 슬픔을 안겨준 노래이기도 하지요 이 앨범은 선배님이 소천하시고 일주일 뒤인 11월 15일에 발매되었는데, 첫번째 곡이 '0시의 이별', 두번째 곡이 '마지막 잎새', 마지막 곡이 '울기는 왜 울어'의 순서로 실려있습니다 노래의 순서마저 메세지를 담고 있는 듯 해 더욱 마음이 아려옵니다 "그 시절 푸르던 잎 어느덧 낙엽지고 달빛만 싸늘히 허전한 가지​ 바람도 살며시 비켜가건만 그 얼마나 참았던 사무친 상처길래 흐느끼며 떨어지는 마지막 잎새 ​​싸늘히 파고드는 가슴을 파고들어 오가는 발길도 끊어진 거리 애타게 부르며 서로 찾은 길 어이해 보내고 참았던 눈물인데 흐느끼며 길 떠나는 마지막 잎새" '바다가 육지라면'의 가사를 쓰신 정귀문 선생님의 작사로 만들어진 '마지막 잎새'는 실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향인 경북 경주시 현곡면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현곡국민학교에 다니던 시절 교장 선생님의 딸을 짝사랑하고 있었는데 어느날 교장 선생님이 다른 학교로 전근을 가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몹시 슬퍼했다고 합니다 학교에 서 있던 플라타너스의 잎이 떨어지는 것을 보았고 훗날 그 마음을 떠올리며 가사를 써내려간 것이지요 2003년에는 정귀문 선생님의 고향인 경주 현곡면에 '마지막 잎새'의 노래비가 세워졌고 건립경위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실렸습니다 "천재 요절가수 배호님 우리는 숨쉬기조차 버거워하며 필사적으로 들려주었던 님의 노래 '마지막 잎새'를 기억합니다 산 좋고 물 좋고 인심 또한 후덕한 고장 경북 경주시 현곡면 바로 '마지막 잎새'의 탄생지이자 글을 쓰신 정귀문 선생님의 고향임을 기억합니다 바람 한 점없는 1970년 어느 가을 밤 아름드리 플라타너스 나무에 힘없이 달려 있던 나무잎들이 우수수 낙엽이 되었습니다 호기심에 떨어진 낙엽을 집어든 정귀문 선생님은 불현듯 소년기 때 이별한 친구의 모습이 떠올랐습니다 사무친 친구에 대한 그리움은 낙엽이 곧 자신의 분신 인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했습니다 그 심경을 담은 '마지막 잎새'는 인생의 무상함을 반추하는 애절한 정서를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노랫말로 옮긴 명곡입니다 이듬해인 1971년 7월 작곡가 배상태님이 곡을 붙여 배호 님은 그의 유작앨범이 된 '0시의 이별 앨범'에서 이 노래를 발표했습니다 4개월 뒤 자신의 운명을 예감한 듯 29살의 젊은 나이에 배호님은 세상을 떠났습니다 당시 인기순위 4위 곡 '마지막 잎새' 는 온국민의 가슴을 적시며 오히려 정상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지요 30여 년이 훌쩍 지난 지금에서야 불세출의 가수 배호님의 '유작 노래 창작자'라는 특별한 사연을 간직한 정귀문 선생님의 '마지막 잎새' 노랫말을 기념하려 합니다 40년 가까운 세월동안 조미미의 '바다가 육지라면'등 수많은 히트곡들을 발표하셨지만 늘 아마추어 정신으로 고향을 사랑하며 고향에 살며 1000여 곡의 한국대중가요를 창작해오신 현곡이 낳은 명작사가 정귀문 선생님 그 분의 고집스런 창작인생이 배호님의 유작 노래비 '마지막 잎새'에 담겨져 후세에 기억되길 바라는 마음에 뜻 있는 분들이 작은 정성을 담아 이 노래비를 바칩니다 " 짧은 인생 동안 노래에 대한 열정으로 뜨겁게 살다 가신 배호 선생님은 후대에까지 '불멸의 가수'로 남을 것입니다 매력적인 저음과 독특한 창법으로 트로트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던 배호 선배님을 그리며 이 겨울 '마지막 잎새'를 여러분들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주현미#배호#마지막잎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