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경기회복 불투명...내수살리기 '총력' / YTN

하반기 경기회복 불투명...내수살리기 '총력' / YTN

[앵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고, 투자와 소비 등 내수 부진이 이어지면서 하반기 경기 회복이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 추경 예산마저 국회에 발목이 잡혀 있는데요 정부는 설비투자를 높이는 특단의 대책을 준비하는 등 하반기 내수 살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습니다 오인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주 금요일,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한국개발연구원 KDI, 대외경제정책연구원 KIEP 등 10개 주요 연구기관장 간담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서는 현재 우리 경제의 상황 진단과 대책에 대한 폭넓은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정부는 미·중 무역갈등의 장기화로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고, 특히 수출은 반도체 가격이 지난해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지며 부진을 더해가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국내 경기도 투자와 수출이 부진하고 내수조차 부침을 받고 있어 경기 하방 리스크도 점차 커지고 있는 만큼, 대응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이 나왔습니다 [홍남기 /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민간의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굉장히 부진해서 하반기에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할 정도로 정부도 엄중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부는 1분기 마이너스 성장에도 2분기부터는 재정투입 효과로 경기가 살아날 것으로 기대했지만, 하반기 경기 회복도 불투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추경 예산도 국회에 발목이 잡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하반기에는 투자와 소비 등 내수 살리기를 통한 경기 방어에 우선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커지는 경기 하방 리스크에 대비한 확장적 재정 정책과 함께 통화정책도 적절히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시장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조영무 /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똑같은 돈을 쓰더라도 정부의 재정 정책이 효과를 보다 더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은행과 정부 간에 보다 더 적극적인 정책 조합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 정부는 경제활력과 산업혁신, 사회안전망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다음 주에 발표합니다 YTN 오인석[insukoh@ytn co kr]입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