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기운을 잡는 시기 입춘기도 삼재풀이 홍수맥이 2023년 계묘년 - 대전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새 기운을 잡는 시기 입춘기도 삼재풀이 홍수맥이 2023년 계묘년 - 대전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2023년_계묘년 #새_기운을_잡는_시기 #입춘기도 #삼재풀이 #홍수맥이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명화당 #처녀보살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입춘(立春) 입춘(立春)은 24절기의 첫 번째로, 음력 정월(正月)의 절기이며 봄의 시작으로 본다 태양의 황경이 315˚에 드는 때이며 양력으로 대개 2월 4일~2월 5일이다 간혹 2월 3일인 경우도 있다 사주팔자의 다수설에서는 새로운 띠가 입춘부터 시작한다고 여긴다 입춘부터 새로운 띠가 시작한다고 우리나라에서 2020년 2월 3일 쌍둥이 중 선둥이(현재나이 1세)를 , 4일 자정에 후둥이를 출산해서 선둥이가 돼지띠, 후둥이가 쥐띠가 되어 쌍둥이가 서로 띠가 달라졌다고 생각한 사례가 네이버 지식인에 올라오기도 했다 그런데 엄격하게 따지면 사주팔자의 다수설에서는 입춘날 0시가 아니라 입춘의 절입시각에 띠가 바뀐다고 여긴다 한국에서 2020년 입춘의 절입시각은 양력 2월 4일 18시 3분이기 때문에, 위에서 사례로 든 쌍둥이들은 모두 기해년생 돼지띠이다 절입시각이란 개념을 대부분 사람들이 모르기 때문에 착각한 것이다 또한 입춘날 절입시각에 띠가 바뀐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사주팔자를 볼 때의 기준이다 조선시대에도 보통은 음력 설에 그해의 간지가 바뀐다고 간주했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매년 정월 첫날마다 책의 위쪽에 그해의 간지를 적지만, 입춘에는 적지 않았다 사주팔자라는 주술적인 체계에서만 입춘의 절입시각을 기준으로 해가 바뀐다고 여긴 것이다 아직 추운 겨울이지만 햇빛이 강해지고 밝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동지가 지난 후 태양이 다시 북반구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북반구 쪽의 지구가 천천히 달구어지는 시차가 존재하여 입춘이 지난 후 한 달 정도 지나야 계절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실제로는 춘분이 되어야 본격적인 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보통 3월 6일경인 경칩이 되어야 봄에 시작된다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들어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봄이 시작하는 날이라 하여 입춘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즉, 절분 대개 이 때를 즈음해서 설날이 온다 그래서 음력에서는 봄이 1, 2, 3월인 것 하지만 중국 화북지방을 중심으로 정한 명칭이라 우리나라의 기후와는 잘 맞지 않는다 많은 사주가들이 입춘을 해가 넘어가는 기준점으로 생각한다 태양의 중심이 황경 315˚에 일치하는 입춘 절입시각을 기준으로 전년도와 금년도를 구분한다 몇몇 사람들은 이것이 한중일의 전통이라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는 어디까지나 사주가들이 사주 볼 때나 사용하는 기준이지 일반 사회에서 통용되는 기준은 아니다 심지어 조선시대에도, 일반에서는 음력 1월 1일에 새 간지가 시작된다고 여겼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만 보아도 매년 1월 1일에는 본문 위에 새해의 간지를 작게 써두었다 사주가들은 12지에 해당하는 띠를 사주명리에서처럼 입춘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상당수 사람들은 음력 기준이라고 간주한다 설날과 입춘이 가깝기 때문에 이렇게 해도 대부분은 거의 차이가 안 나기도 하고 편하게 양력 1월 1일을 기준으로 간지를 나누는 사람도 많다 역사적으로 연도 기산의 기준점으로 애용되던 절기는 동지와 춘분이다 입춘은 이 둘 사이의 정확히 가운데 있음이 특기할 만한 부분이긴 하겠다 그렇다고 아주 근거가 없는 건 아닌 게, 한자문화권에선 옛날부터 이 전날을 '해넘이'라 하여 귀신을 쫓을 목적으로 방이나 마당에 콩을 뿌리는 풍습이 있었다 이것은 한무제가 연도의 기산점을 자월(동짓달: 음력 11월)에서 인월(동짓달로부터 2달 뒤)로 바꾸면서 남은 흔적이다 그래서 설날을 연도별로 추적해보면 입춘을 기준으로 하여 ±15일 범위 내(대한부터 우수까지)에서 오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설 입(립)立, 봄 춘春, 큰 대大, 길할 길吉 세울 건建, 볕 양陽, 많을 다多, 경사 경慶 입춘대길 건양다경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라는 의미 남인의 거두 미수 허목이 만들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이날 '입춘대길'(立春大吉:입춘을 맞이하여 좋은 일이 많이 생기라는 뜻)이라는 축원을 대문이나 대들보, 천장에 붙였다 액막이 이 외에도 소문만복래(웃으면 만복이 온다) 등 축원도 자주 나온다 맹꽁이 서당에서는 이 축원들을 아주 황당하게 패러디해놔서 훈장을 또 골탕먹였다 농가에서는 보리 뿌리를 뽑아 보고 뿌리수를 통해 그해 농사가 잘 될지 어떨지를 점치기도 하였다 3은 풍작, 2는 평년작, 1이나 없으면 흉작 은근히 과학적이다 음력으로 한 해에 양력 절기인 입춘이 두 번 들어 있으면 '쌍춘년'(雙春年)이라고 하여 그해에 결혼하는 것이 길하다고 한다 즉, 윤달이 든 해로 2014년이 대표적인데, 기원전부터 지금까지 윤달이 12번밖에 없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현재 한국에서 통용되는 시헌력에서는 19년 동안 윤년이 7번 있도록 배치한다 (여기에 황금돼지해 드립까지 낀 게 압권) 예를 들어 당장 2017년과 2020년이 윤달이 있다 애초 윤달이 수백 년 만에 한 번 돌아온다면 관련된 풍속이나 속설이 전승되지도 않거나, 있다 해도 흉한 내용이었을 것이다 입춘날 입춘절식이라 하여 궁중에서는 오신반(五辛盤)을 수라상에 얹고, 민가에서는 세생채(細生菜)를 만들어 먹으며, 함경도에서는 민간에서 명태순대를 만들어 먹는다 오신반은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요리로 매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움파, 산갓, 승검초, 미나리 싹, 무 싹, 파, 마늘, 달래 등 강한 자극을 가진 나물 중 다섯 가지를 골라서 만들었다고 한다 겨울 동안 결핍되었던 채소를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것을 본떠 민간에서는 입춘날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다가 무쳐서 입춘 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생겨났는데 이를 세생채라 하여 파·겨자·당귀의 어린 싹으로 입춘채(立春菜)를 만들어 이웃간에 나눠먹는 풍속도 있었다 일본에서는 입춘 전날을 세쓰분(세츠분)이라고 하여 콩을 뿌리고 김밥을 먹는 행사를 한다 절분 가운데 유일한 명절이라고 한다 하지만 중국, 한국에서는 옛날처럼 절분을 쇠는 풍습은 거의 사라졌다 반면 입춘 당일날은 한국만큼 중요시하지 않는다 입춘대길 축원문을 써 붙여두는 풍습이 있긴 하나 한국만큼 흔하지 않으며, 그나마도 건양다경이 아니라 '진방화촉'(鎮防火燭: 불씨를 조심하자)라는 말을 곁들인다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라고도 한다 불교의 경우 기도는 '눈을 안으로 돌이키는 노력', 즉 내 욕심과 고집을 버리고 다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해 깨닫겠다는 원을 세우고 이를 성취하려는 노력의 행위이다 기도는 신 또는 거룩히 여기는 대상에게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인간의 행위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스스로가 가야 할 길을 구하거나, 도움을 구하거나, 죄를 고백하거나,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목적을 위해 신성하게, 영이 가득한 말을 연속적으로 하는 형태를 띠나, 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표현하는 행동을 통틀어서 '기도'로 볼 수 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기도하는 사람은 독백을 하거나, 말없이 수행하는 묵도의 형태를 띤다 또한 말뿐만 아니라, 눈을 감거나, 합장, 엎드리기, 또는 일정 구획을 걷는 등의 신체적인 행위 또는 자세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기도는 개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여럿이서 함께 행하는 경우도 있다 기도에 쓰이는 말은 찬송, 주문, 또는 기타 자발적인 발언의 형태를 취한다 기도의 의식은 이념이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있으며, 종교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 가운데 하나이다 단,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명절 혹은 제사 때 조상을 기리거나, 천지신명 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유성우를 보고 소원을 빌거나, 애니미즘, 막연한 대상에게 취하는 감사 등의 행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기도' 또는 '빎'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며, 예컨대, 무엇인가에의 '빎' 또는 기도는 보다 근원적인 욕구에 근거한 인간의 보편적인 활동 양식으로 볼 수도 있으며 그 대상, 때, 장소, 개인의 사상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수 있다 복 삶에서 누리는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 행운 개설복이 ‘운수’나 ‘행운’과 관련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는 것은 복이 인간의 힘을 초월한 천운(天運)에 의해서 저절로 돌아가는 기수(氣數)로 이해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한편으로 복은 ‘아주 좋다’거나 ‘오붓하다’는 말에서 풍기고 있는 것처럼 필요한 것이 허실(虛失) 없이 두루 넉넉하게 갖추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이해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복이란 한자는 원래 ‘시(示)’와 ‘복畐’의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시’는 하늘[天]이 사람에게 내려서 나타낸다는 신의(神意)의 상형문자이고, ‘복’은 복부가 불러 오른 단지의 상형문자라 한다 ‘복’의 한자 어원도 역시 복의 뜻이 가지는 두 함축, 곧 사람의 힘을 초월한 운수라는 뜻과 오붓하고 넉넉하다는 뜻의 함축을 풀이해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