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님 산소 산탈 무서운 이유 - 일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한적화 천수보살 #Shorts

조상님 산소 산탈 무서운 이유 - 일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한적화 천수보살 #Shorts

#조상님_산소 #산탈 #무서운_이유 #용한점집추천 #유명한점집후기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한적화_천수보살 #일산점집 #재수굿 #신내림굿 #Shorts 한적화 천수보살 상담전화:010 8285 1811 상담장소:일산 시장(앞)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이장(移葬):묘를 쓴 후 다시 어떠한 목적에 의하여 새로이 묘지를 택하여 시신을 옮겨 매장하는 상례의식 개장(改葬)·면례(緬禮)·면봉(緬奉)·천장(遷葬)이라고도 한다 중국문헌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문왕(文王)이 왕계(王季)를 과산(過山)의 기슭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으로 보아 적어도 주나라 때 이미 이장풍속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는 『태종실록』 태종 10년(1410) 8월조에 “개장복(改葬服)을 예조에서 시마(緦麻)로 행하지 않을 수 없다 ”는 기록이 보이고, 『가례증해(家禮增解)』·『상례비요(喪禮備要)』·『사례편람(四禮便覽)』 등에도 그 절차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어서 일찍부터 행해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관혼상제의 규범으로 여겼던 주자의 『가례』에는 이에 관한 절차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일반적으로는 상변례(喪變禮)로 취급되고 있다 이의조(李宜朝)의 『가례증해』에 의하면, 이에 관한 절차는 명나라의 구준(邱濬)이 『개원례(開元禮)』를 근거로 하여 『가례의절(家禮儀節)』에 수록하였으며, 이것을 토대로 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신의경(申義慶)이 그의 『상례비요』에 수록하였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이후에 나온 예서들은 모두 이 『상례비요』의 개장절차를 인용하여 수록하고 있다고 하였다 신의경은 개장을 논의하면서 “옛날의 개장은 분묘가 어떤 이유에서 붕괴되어 시신이나 관이 없어질 우려가 있을 때 하는 것이었으나, 요즈음에는 풍수설에 현혹되어 아무 이유가 없이도 천장(천묘)을 하는데, 이것은 심히 잘못된 것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개장에는 개장할 날을 받는 일부터 옛 묘지를 파헤치는 일과 새 묘지를 만들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일을 마치는 절차가 포함된다 신의경의 『상례비요』에 기록된 절차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개장의 절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개장을 하려면 먼저 묘지를 고르고 모든 절차를 초상 때와 같이 준비한 다음 날짜를 택하여 무덤자리를 만든다 개장하기 하루 전에 사당에 “체백(體魄)을 모실 땅이 아니기 때문에 뜻밖의 환란이 생겨 선령(先靈)을 놀라게 할 것 같아 걱정스러워 개장한다 ”는 내용으로 고사한다 이튿날 내외친 모두 상복으로 갈아입고 옛 묘에서 토지신제와 계묘고사(啓墓告辭)를 올린다 계묘고사는 주과포혜(酒果脯醯)를 묘 앞에 진설한 뒤 곡과 재배·분향·단헌·곡의 순으로 진행된다 그 다음에 개분(開墳)을 하는데 자손들이 모두 나아가 곡을 한다 이때의 상복은 직계자손일 때에는 모두 3개월 동안 시마복(緦麻服)을 입으며, 그 밖에는 소복을 한다 관을 들어내면 명정을 동쪽에 세우고 공포(功布)로써 관을 닦아내고 이불로 덮은 다음 관 앞에 전상(奠床)을 차리고 때가 되면 상식을 올린다 모든 절차는 초종 때와 같으나 단지 혼백상(魂魄床)이 없을 뿐이다 관을 열어 시신을 내모시고 새로이 대렴(大斂)을 하여 상여에 싣는다 이어서 초상례와 마찬가지로 발인을 한다 새 묘에 내려 묻고는 그 왼쪽에서 토지신제를 지낸다 그 다음의 절차에 대해서는 『상례비요』와 『사례편람』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상례비요』에 의하면 묘 앞에 영좌(靈座)를 차리고 우제를 지낸 다음에 영좌를 철거하고 돌아온다 우제의 절차는 상례의 초우와 같다 집에 와서는 사당에 고한다 이로써 개장의 절차는 끝나며, 그 뒤 3개월간 상복을 입는다 개장한 지 넉달째 되는 초하룻날에 허위(虛位)를 만들고 곡을 하고서 옷을 벗는다 그러나 『사례편람』에서는 우제라는 말이 없이 묘 앞에서 간단히 전고(奠告)를 올린 다음 돌아온다 그리고 집에 돌아와 정침에 영좌를 차리고 사당에 고한 다음 신주를 내모시고 제고(祭告)를 올린다고 하여 우제라는 말 대신에 사용하고 있다 개장의 절차에서 우제를 지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논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논란은 바로 구준의 『가례의절』에 나타난 우제의 절차가 주자의 뜻에 맞는가 하는 문제로서, 결론은 주자의 뜻에 맞지 않는다는 점에 이르고 있다 『사례편람』의 저자 이재(李縡)는 송시열(宋時烈)의 해석에 따라 “개장할 때의 우제는 우암(尤庵)에 의해 주자의 뜻을 어기는 것으로 우제를 삭제하였다 ”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김집(金集)도 “개장할지라도 이미 신은 사당에 계시기 때문에 우제를 지내는 것은 부당하다 ”고 말하고 있다 탈:뜻밖에 일어난 변고나 사고와 그에 따른 어떤 좋지 않은 결과를 가리키는 민간용어 예정한 노정을 탈없이 마쳤다거나 아무 탈없이 잘 지냈다는 것은 전자의 예이고, 속담에 일이 크게 벌어진 것을 두고 ‘탈이 자배기만큼 났다 ’ 하는 것은 후자의 보기가 된다 탈은 그밖에 병(病)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먹은 음식으로 말미암아 체하거나 설사 나거나 하는 뱃속 병의 총칭으로 사용하는 배탈이란 용어에 잘 드러난다 뜻밖에 발생하고 원인을 알 수 없는 어떤 좋지 않은 결과를 두고 표현하던 탈이란 개념은 점차 민간 신앙에 수용되어 처벌과 관련된 막연한 영적 존재로 발전한다 그런 막연한 민간신앙적 개념 가운데 임신 중이나 아이를 놓다가 죽은 여인들의 탈이 무(巫)에서 하탈(下頉)이라는 한 종류의 잡귀잡신(雜鬼雜神)으로 확정된다 탈은 그러므로 한국인의 어떤 부정적인 관념이 하위신령으로까지 발전해 가는, 민간종교의 중요한 개념이다 탈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 문헌적 출처도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조선 후기의 학자 정동유(鄭東愈)가 지은 『주영편 晝永編』에 탈에 관하여 언급한 것이 있다 그는 우리 나라에는 자전(字典)에도 없는 글자가 많다 하고, 그 가운데 속명(俗名)과 뒤섞인 글자[雜字]의 한 예로 ‘칭탈(稱頉)’을 들었다 사람들이 흔히 일을 사고(事故)라고 칭탁(稱託)하여 모면하는 것을 ‘칭탈’로 쓴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쓰는 탈의 한자인 ‘頉’이 우리 나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임을 알 수 있다 민속신앙·생활·문학작품·속담 등은 탈의 종류와 내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속담에는 ‘죽는 놈이 탈 없으랴 ’하여 어떤 재앙이라도 다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계집과 숯불은 쑤석거리면 탈난다 ’는 여자가 남자의 유인에 잘 넘어감을 뜻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모두 어떤 좋지 않은 결과나 그 원인으로서의 탈을 표현하고 있다 생활 가운데서 탈은 여러 종류와 내용으로 사용된다 앙탈·속탈·뒤탈·배탈·까탈 또는 가탈 등이 그러한데, 앙탈은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핑계를 대어 피하거나 남의 말을 안 듣고 불평을 늘어놓거나 생떼를 쓰는 것이다 ‘앙탈을 부린다’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속탈은 먹은 것이 잘 삭지 않아 생기는 병으로 배탈과 유사한 뜻을 가진다 뒤탈은 어떤 일에 대하여 뒷날의 걱정이나 근심, 또는 뒤에 생기는 탈을 말한다 ‘모든 일을 뒤탈 없이 잘 처리하자 ’는 용례는 일반적이다 까탈은 ‘왜 이 일에 그다지도 까탈이 많으냐 ’는 예처럼 일이 수월하게 되지 않도록 방해하는 조건을 가리킨다 탈의 생활적 용례는 이처럼 다양한데, 가요 가운데도 “이것 참 큰 일 났네, 큰 탈이 났네 ”라는 구절이 있는 정도이다 탈을 주제로 다룬 문학작품으로는 「변강쇠가」를 대표적인 것으로 손꼽을 수 있다 변강쇠가 경상도 함양(咸陽)의 장승을 뽑아다가 도끼로 패어 군불을 많이 넣었는데, 이 변고를 들은 팔도 장승들이 회의하고는 변강쇠에 달려들어 각기 자기네 맡은 대로 온갖 병을 들게 하여서 변강쇠는 송장이 되고 만다 장승을 패어 덥게 때고 그날 밤을 자고 깨어나서도 변강쇠가 아직 별고 없음을 판소리에서 “아무 탈이 없었구나 ”라고 노래한다 그 탈은 그러나 결국 장승들의 징벌과 변강쇠의 병사로 나타난다 이 작품에서는 탈이 일상적인 뜻이 아니라 영적 존재 내지 민속신앙 대상의 처벌과 관련되어 있어 탈의 민속종교적 성격을 보이고 있다 그런 면이 무(巫)에서는 명확하게 드러난다 조상(祖上)과 관련하여 1930년대까지도 서울에서 불리던 「지두서 指頭書」라는 무가(巫歌)에 “청산의 청나비는 입이 걸려 못 나오고 흥산의 흥나비는 꽃이 걸려 못 나온다더니 아모씨 조상님네 탈에 걸려 못 나오실 제 애탈 지탈 넋의 넋탈 지방 너미 천너미 가시문 지게쇠문 지게 넘어 오실 제 진언이나 외어 가옵소서 ”란 대목이 있다 조상이 탈에 걸려 이승의 굿판으로 못 나온다면 그 탈은 이미 예사스러운 것이 아니다 그런 탈이, 그 구체적인 뜻은 불분명하나 애탈·지탈·넋탈 등으로 개념화된다 굿의 부정거리나 뒷전에는 탈이 잡귀잡신의 한 종류로 잡혀진다 하탈이 그것이다 제가(諸家)집 부녀 가운데 아이 배고 죽었거나 아이 낳다가 죽거나 아이 놓고 죽은 귀신을 가리키는 하탈은 전통굿의 뒷전에서 뒷전의 한 거리로 놀아졌던 것이다 이것은 다시 잡귀잡신 가운데 억울하고도 비참하게 죽은 귀신인 영산과 연결되어 영산의 하위개념으로서의 하탈영산이란 종류를 형성한다 그래서 부정거리에서는 “낳구 가구 배고 가든 하탈영산”이라며 한 대목이 불려진다 한국사회가 근대화되면서 의학의 발달로 임산부나 산모나 해산 모가 죽는 일은 거의 사라졌다 그에 따라 하탈이라는 잡귀잡신도 차츰 그 의미를 잃어버리고 뒷전에서 더 이상 놀아지지 않는다 다만 부정거리에서 하탈영산으로 잠시 언급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