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업무복귀 문 대통령, 정부 개각 '소폭 vs 대폭'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뉴스포커스] 업무복귀 문 대통령, 정부 개각 '소폭 vs 대폭' [출연 : 인제대 김창룡 교수ㆍ세명대 이상휘 교수] 건강상의 이유로 나흘 간 휴식을 취했던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공식 업무에 복귀합니다 정부 개각을 단행할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후반기 국회를 앞두고 여야 정치권은 '연합전선' 구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데요 민주당은 범여권을 중심으로 한 '개혁입법연대'를, 한국당은 야당을 중심으로 한 '개헌연대'를 추진 중입니다 김창룡 인제대 교수, 이상휘 세명대 교수와 함께 오늘의 정치이슈 짚어봅니다 두 분,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문재인 대통령이 나흘 만에 감기몸살을 털고 공식 업무에 복귀합니다 정치권에서는 공식 업무에 복귀한 만큼 조만간 부분 개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요 애초 소폭 개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지만 휴식 기간 동안 정국 구상에 따라서는 대폭 개각이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거든요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 1-1] 가장 관심은 역시 김부겸 장관의 거취인데요 김부겸 장관이 어제 자신의 SNS를 통해 거취논란을 일으킨 자신의 발언에 대해 해명하고 개각 때까지 장관업무에 전념하겠다고 밝혔거든요 이 상황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1-2] 문재인 대통령의 입장에서도 김부겸 장관을 교체한다면 당 대표로 김부겸 장관을 선택했다는 인상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어 보이거든요 김 장관, 결국 유임될까요? [질문 2] 청와대가 '감기몸살'을 이유로 문재인 대통령이 업무를 중단한다고 밝힌 것을 두고 사실 초기부터 적절성 논란이 계속해서 일었는데요 특히 '대통령 업무 보고중단'까지 밝힌 것은 한 국가의 통수권자라는 자리를 두고 볼 때 상당히 부적절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거든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이런 가운데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후보가 이번 대통령의 업무공백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과 비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또 다른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 김 지사는 자신의 SNS에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을 분 단위로 따지던 이들이 문 대통령의 업무 공백에 대해서는 아무런 말이 없다"며 문대통령의 이번 휴가가 석연치 않다고 주장했거든요 이런 김 전 후보의 발언은 어떻게 들으셨어요? 문 대통령의 나흘 간의 휴가와 박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요? [질문 4] 청와대가 탁현민 행정관이 사의를 사실상 반려했습니다 앞서 탁 행정관은 자신의 SNS에 "맞지 않는 옷을 너무 오래입었다"며 사실상 사퇴를 시사했고 전날에는 일부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사퇴의사를 분명히 밝히기도 했거든요 그럼에도 청와대가 탁행정관의 사의를 만류하고 나선 셈이거든요 청와대가 탁 행정관의 사직을 만류하고 나선 이유는 무엇일까요? [질문 4-1] 사실 탁 행정관, 임명 이후 남북정상회담 등 문재인 정부의 다양한 행사를 성공적으로 이끈 일등 공신이었지만 반면에 여성비하 발언, 선거법 위반 등 공직자로서 논란이 끊이지 않기도 했는데요? [질문 4-2] 최종적으로 탁 행정관의 거취, 어떻게 정리되야 한다고 보세요? [질문 5] 여야가 이번 주부터 국회 후반기 의장단과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한 원구성 협상을 본격화 하는데요 교섭단체가 4곳이나 되는데다 서로의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리다보니 당장 9일까지 이뤄져야할 민갑룡 경찰청장의 청문회가 불발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원 구성 협상,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6] 원구성 협상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과 평화당, 정의당, 그리고 일부 무소속 의원들이 참여하는 범여권 연대론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른바 '개혁입법연대'를 추진해 원구성 협상에 나서자는 것인데요 변수가 될 수 있을까요? [질문 6-1] 개혁입법연대에 바른미래당 참여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주승용, 김관영 의원등이 참여를 주장하고 있지만 사실 정체성 문제를 겪고 있는 바른미래당으로서는 잃을 것도 많은 선택이지 않습니까? [질문 6-2] 교수님들은 이번 원구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